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성우 전 수석 "박 대통령 개헌 제안, 국면전환용 얘기 있었다"

지난해 10월 한창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이 보도될 즈음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개헌 의제를 던진 것은 국면 전환용이었다는 취지의 진술이 공개됐습니다.

검찰은 오늘(1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 이영훈 부장판사 심리로 진행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재판에서 김성우 전 홍보수석의 진술조서를 공개했습니다.

애초 재판부는 김 전 수석을 증인으로 부를 예정이었지만 우 전 수석 측에서 김 전 수석의 진술조서를 증거로 쓰는 데 동의해 오늘 심리는 진술조서를 조사하는 형식으로 대체됐습니다.

지난해 10월 24일 박 전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 자리에서 "임기 내에 헌법 개정을 완수하기 위해 정부 내에 헌법 개정을 위한 조직을 설치, 국민의 여망을 담은 개헌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개헌추진을 공식화했습니다.

당시는 미르·K재단의 졸속 설립 문제, 그 배경에 청와대와 최순실 씨가 있다는 의혹 등이 연일 언론에 보도되던 때였습니다.

김 전 수석의 검찰 진술에 따르면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을 앞둔 주말 이원종 당시 비서실장이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을 불러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개헌 얘기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수석은 검찰에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서 개헌 논의를 하자는 얘기가 나왔고, 그게 국면전환용이라는 얘기가 있었다"고 진술했습니다.

김 전 수석은 검찰에서 "개헌 발표 이후 모든 언론이 그걸 쫓아가는 상황이어서 다들 신의 한 수였다고 했다"고도 했습니다.

이 같은 김 전 수석의 진술은 지난 6월 박 전 대통령 재판에서 한 차례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이 개헌 의제를 던진 날 밤 최 씨가 사용했다는 태블릿PC 관련 내용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개헌 이슈는 묻히고 말았습니다.

김 전 수석도 검찰에서 "JTBC 보도로 수습이 불가능한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한편, 김 전 수석의 진술조서에 따르면 우 전 수석은 지난해 국회 운영위원회에 증인으로 채택됐을 때 "국회에 나갈 바에야 그냥 그만두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지난 2월 김 전 수석이 박영수 특검팀의 조사를 받은 후 우 전 수석이 연락해와 "안종범 수석이 지난해 8월에서 9월 쯤 재단 인선 문제를 얘기했다고 하는데 그런 적이 없다는 진술서를 써달라"고 부탁했다고도 김 전 수석은 진술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