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광군제 하루 매출 28조 원…예상 뛰어넘은 39% 폭증

中 광군제 하루 매출 28조 원…예상 뛰어넘은 39% 폭증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중국의 '광군제' 할인 판매 행사에서 일일 판매액이 예상치를 훌쩍 넘은 28조 원에 달했습니다.

알리바바는 광군제 행사가 진행된 어제(11일) 24시간 동안 매출액이 1천682억 위안, 28조 3천7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천207억 위안보다 39.3% 늘어난 규모입니다.

지난해의 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 32%를 넘어서는 증가세이며 애초 예상치인 1천500억 위안도 훌쩍 뛰어넘은 수칩니다.

매출은 행사 개시 11초 만에 1억 위안 168억 원, 28초 만에 10억 위안 1천682억 원, 3분 1초 만에 100억 위안, 1조 6천823억 원을 넘어섰으며, 이어 정확히 9시간 만에 1천억 위안 16조 8천23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지난해 광군제 당시 각각의 돌파시점 20초, 52초, 6분58초, 18시간55분과 비교해 절반 정도로 단축된 셈입니다.

이에 따라, 2012년 광군제 행사의 하루 매출 191억 위안은 단 5분 57초 만에, 2013년 매출 362억 위안은 16분 10초 만에, 2014년 매출 571억 위안은 1시간 49초 만에, 2015년 매출 1천16억 위안은 9시간 15분 만에 뛰어넘었습니다.

이어 지난해 광군제 하루 매출 1천207억 위안 20조 6천723억 원을 13시간 9분 만에 돌파하고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이날 하루 전 세계 225개 국가에서 지불 결제가 이뤄진 주문량은 14억 8천만 건이었고 배송 물량 8억 천200만 건이 생겨났습니다.

배송량으로만 따지면 지난해 6억 5천700만 건보다 23.6% 늘어난 결과입니다.

초당 32만 5천 건의 최대 거래 주문이, 그리고 초당 25만 6천 건의 지불 결제가 이뤄졌습니다.

무엇보다 광군제의 폭발적 매출 증가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간편한 모바일 구매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

올해 행사에서 모바일로 상품을 구매한 비율은 90%에 달했는데, 모바일 상품 구매비율은 2013년 14.8%에서 2014년 42.6%, 2015년 68.7%, 지난해 82.0%로 꾸준히 높아지다가 처음으로 90%대를 기록한 것입니다.

아울러 알리바바가 쇼핑의 글로벌화를 실행한 것도 예상 밖 매출증대에 한몫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전체 14만 개 브랜드 가운데 아디다스, P&G, 지멘스 등 6만 개 이상의 해외 브랜드들이 참여했고, 중국의 100여 개 브랜드들이 글로벌 판매를 진행했습니다.

광군제 종료에 따라 중국에서는 쏟아진 주문 물품을 배송하기 위한 택배전쟁이 치러질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국가우정국은 알리바바와 징둥닷컴의 광군제 판촉활동에 따른 11∼16일간 택배 업무량이 15억 건에 이른다고 밝혔습니다.

알리바바의 택배 계열사 차이냐오 중국 전역에 18만 8천 곳의 택배망을 구성하고 300만 명의 인력을 동원해 8억 1천200만 건의 주문 물품 배송에 나설 계획입니다.

해외에는 주문 72시간 내 배송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