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광군제에 한국제품 5위 '선전'…하루 매출 28조 원

中 광군제에 한국제품 5위 '선전'…하루 매출 28조 원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중국의 '광군제' 할인 판매 행사에서 일일 판매액이 예상치를 훌쩍 넘은 28조 원에 달했습니다.

알리바바는 광군제 행사가 진행된 11일 자정부터 24시간 동안 매출액이 천682억 위안, 우리 돈으로 28조 3천 7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39.3%나 늘어난 규모로, 지난해의 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 32%를 넘어서는 증가세이며 당초 예상치인 천500억 위안도 훌쩍 뛰어넘은 결괍니다.

이번 광군제 매출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늘어난 것과 고품질 상품에 대한 수요를 다시 한번 확인시켰습니다.

중국 중산층 소비자의 현금 보유액은 5천조 원을 웃도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행사 개시 11초 만에 1억 위안 어치가 팔린 데 이어, 28초, 3분 1초 만에 10억, 100억 위안을 넘었고, 정확히 9시간 만에 천억 위안을 돌파해 지난해 광군제 당시의 돌파시점을 절반 가량 단축했습니다.

이런 매출 규모는 2012년 광군제 행사의 하루 매출을 단 5분 57초 만에 뛰어넘은 것으로, 2013년 매출은 16분10초, 2014년 매출은 1시간49초, 2015년 매출은 9시간15분 만에 뛰어넘었습니다.

이어 지난해 광군제 하루 매출을 13시간9분만에 돌파하고 신기록을 이어갔습니다.

중국 밖에 거주하는 해외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알리익스프레스가 미국시간에 맞춰 오후 3시부터 할인행사를 개시하면서 매출이 다시 활기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같은 폭발적 매출 증가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간편한 모바일 구매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올해 행사에서 모바일로 상품을 구매한 비율은 90%에 달했습니다.

아울러 알리바바가 쇼핑의 글로벌화를 실행한 것도 예상 밖 매출증대에 한몫한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아디다스, P&G, 지멘스 등 6만 개 이상의 해외 브랜드들이 참여했고, 중국의 100여 개 브랜드들이 글로벌 판매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광군제 행사에는 한국 판매자와 브랜드, 소비자들도 대거 참여했습니다.

총거래액 기준 대비 판매 상위 국가에서 한국은 일본, 미국, 호주, 독일에 이어 5위에 올랐습니다.

지난해 일본, 미국에 이어 세번째 순위였던 것에서 두 단계나 떨어진 것이긴 하지만 사드 한중관계의 현실에 비춰 비교적 선전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시드 갈등으로 한국에 대한 감정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한류 금지령도 유지되고 있는 와중에 그나마 한중관계의 회복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광군제 할인행사의 광고에 한류스타 전지현이 등장한 것도 한류 경제의 회복 조짐과 관련해 비상한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동안 중국 광고판에서 사라졌던 전지현은 알리바바의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의 광군제 판촉광고에 얼굴을 실었고 베이징 지하철에 한 화장품 광고 모델로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알리바바는 이번 행사에 가상 의상과 화장품 체험인 매직미러, 패션 인공지능, 증강현실 같은 첨단 기술을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사진=AFP)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