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고리 3인방 이어 국정원장들까지 '朴 요구였다' 시인

문고리 3인방 이어 국정원장들까지 '朴 요구였다' 시인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를 상납한 의혹을 받는 이병호(77) 전 국정원장이 검찰에서 혐의를 일부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정당국에 따르면 이 전 원장은 지난 10일 오전 9시 30분부터 자정쯤까지 이어진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양석조 부장검사)의 소환조사에서 "청와대의 요구에 따라 특활비를 정기적으로 전달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는 특활비 상납을 그간 이어져 온 관행으로 생각했으며,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여겨진 청와대 측의 요구를 거부할 수 없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5년 3월부터 올해 5월까지 2년여간 박근혜 정부의 마지막 국정원장으로 일한 이 전 원장은 이재만(51)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문고리 3인방'을 통해 박 전 대통령에게 매달 약 1억 원의 특활비를 뇌물로 상납해 국고손실을 초래한 혐의를 받습니다.

검찰은 지난해 7월 국정농단 의혹의 핵심 '미르재단' 관련 보도가 나온 뒤 특활비 전달이 끊겼다가 두 달 후 평소보다 많은 2억 원이 다시 전달된 점에 비춰 청와대 측과 이 전 원장 등이 특활비 상납의 위법성을 인식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문고리 3인방'을 통해 임기 중 국정원으로부터 약 40여억 원의 특활비를 받아 비자금으로 사용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 전 원장에 앞서 특활비 상납을 시작한 남재준(73) 전 국정원장도 8일 검찰에 출석해 "취임 이후 청와대의 요구를 받아 매달 5천만 원씩 특활비를 보냈다"고 진술하는 등 큰 틀에서 혐의를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은 내일(13일) 이병기(70) 전 국정원장도 소환해 그의 재임 시기 특활비 상납 액수가 월 5천만 원에서 월 1억 원 수준으로 늘어난 배경 등을 추궁할 계획입니다.

이로써 박근혜 정부의 국정원장 3명에 대한 조사가 모두 마무리되는 셈입니다.

검찰은 앞서 구속된 이재만·안봉근(51)·정호성(47) 전 청와대 비서관으로부터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특활비를 상납받아 관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뒤 40여억 원에 달하는 자금의 용처를 쫓고 있습니다.

이들에 이어 남재준·이병호 전 국정원장까지 '상납 고리'의 최정점이 박 전 대통령이라는 정황을 뒷받침하는 진술을 내놓음에 따라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자신의 재판마저 출석을 거부하는 점 등을 고려해 서울구치소로 방문 조사를 가는 방안 등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등 조사 계획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 관계자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며 "방식과 시기는 여러 상황을 고려해서 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