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평창올림픽 이후 7개 경기장 운영 연간 101억 원 적자 예상

평창올림픽 이후 7개 경기장 운영 연간 101억 원 적자 예상
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후 강원도가 관리해야 하는 경기장 운영에 연간 100억 원이 넘는 적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강원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감사자료를 보면 보조경기장을 포함한 13개 경기장 가운데 도가 관리해야 하는 7개 시설 운영수지 분석결과 연간 101억3천100만 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적자가 가장 큰 시설은 정선 알파인경기장으로 36억8천200만 원에 달했습니다.

운영비용은 106억8200만 원인 반면 운영수익은 70억 원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32억5천400만 원 운영비용에 운영수익은 10억 원으로 22억5천400만 원, 강릉하키센터는 28억300만 원 운영비용에 운영수익은 6억6천만 원으로 21억4천300백만 원 적자를 예상했습니다.

강원도개발공사가 운영하는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3개 시설 적자액은 11억4천300만 원,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예상 적자액은 9억900만 원입니다.

스피드스케이팅, 강릉하키,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등 전문체육시설은 일반인 활용이 어려워 운영적자가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도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을 통해 사후관리 방안을 해결한다는 방침입니다.

전문체육시설인 스피드스케이팅, 강릉하키센터,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등 4개 시설을 국가가 관리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한다는 것입니다.

관리주체가 이미 확정된 시설의 소유권 이전을 골자로 한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도 추진합니다.

대학 내에 설치했거나 관리주체를 확정한 관동하키센터와 쇼트트랙 보조경기장, 슬라이딩센터가 대상입니다.

도 관계자는 "사후관리 방안이 늦어도 연말까지는 확정될 수 있도록 도 정치권 등과 협조, 관련 예산 확보와 법안 개정이 이뤄져 국가 차원 관리를 추진하고 나머지 시설은 민간투자유치 등 다각적 사후활용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도와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는 앞서 지난 4일 대회 개막 G-100일을 기념해 종목별 경기장 등 시설물 완공을 선언했습니다.

이미 완공된 올림픽 개폐회식장을 포함해 현재 공정률 99.7%인 마무리 단계로 12월까지 부대공사를 마치고 전체 공정률 100%를 달성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