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아시아·태평양'→'인도·태평양' 용어 변경 왜?

미국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3일(현지시간) 첫 아시아 순방에 즈음해 호주에서 동북아, 인도에 이르는 지역을 '인도·태평양'(Indo-Pacific)이라는 용어로 다시 명명하고 있다.

기존의 '아시아·태평양'(Asia-Pacific)이라는 명칭을 대신해서다.

AP통신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협정의 개정과 강경한 대북정책 등을 통해 아시아 정책을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이 지역에 완전히 새로운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2일 트럼프 대통령 순방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인도·태평양' 지도자들과 43차례 전화통화를 했다"고 한 게 대표적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전날 각료회의에서 '인도·태평양'이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했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이날 연합뉴스 등과의 인터뷰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국회 연설 메시지에 대해 "강력한 한미동맹의 미래와 함께 인도·태평양 전역의 안보와 번영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이야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도 지난달 18일 인도와의 전략적 관계 확대를 강조하는 연설에서 '인도·태평양'을 15차례 사용했다.

사실상 미 정부 내에서 '아시아·태평양'을 대체하는 용어로 자리 잡은 셈이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가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추진했던 전임 버락 오바마 행정부와의 차별화를 위해서라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2011년 11월 호주 의회 연설에서 "21세기 아시아·태평양에 항상 미국이 포함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다 그보다는 '인도·태평양'이라는 용어가 미국의 라이벌로 급부상하는 중국을 의식한 명칭이라는 해석이 대체적이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아시아 중시'의 메시지를 전하고 싶지만, 동시에 이 지역의 핵심 라이벌로 떠오른 중국을 견제하는 의미를 담는 용어로 '인도·태평양'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AP는 "미 정부가 '인도·태평양'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이 지역이 중국의 뒷마당이나 동아시아 호랑이 경제권(한국과 홍콩·대만·싱가포르)을 훨씬 넘어서는 지역이라는 생각을 확산시키려 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미국의 영향력이 뻗치는 범위를 동북아를 비롯한 중국 주변국들에 제한하지 않고 중국의 급부상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는 인도와 호주까지 넓히겠다는 구상이 인도·태평양 용어의 사용에 담겨있다는 게 AP의 설명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