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대, 혈액으로 치매 조기진단 기술 개발…정상인 치매 예측 길 열려

서울대, 혈액으로 치매 조기진단 기술 개발…정상인 치매 예측 길 열려
▲ 서울대 의대 묵인희(왼쪽)·이동영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23일) 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 서울대 의대 묵인희·이동영 교수 연구팀이 혈액검사로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알츠하이머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국내기업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밝혔습니다.

인지기능이 정상인 단계부터 알츠하이머 병을 예측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겁니다.

알츠하이머병은 대표적인 치매 원인질환으로 만성적이고 진행성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뇌세포가 손상되기 전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사후 부검에 의존하거나 아밀로이드 PET라는 고가의 뇌영상검사를 이용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소량의 혈액만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아밀로이드 PET 검사 정확도의 약 90% 수준까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 정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우선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쌓이면 혈액에서도 이 단백질이 많이 나오는데, 혈액 속 효소에 의해 이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도록 혈액 샘플을 전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뇌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단백질 바이오마커 4종과 혈액인자 4종을 새롭게 발굴해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묵인희 교수는 “대부분의 치매 진단 기술들이 증상이 뚜렷한 치매 환자를 구분하는 방법인데 비해, 연구단에서 개발한 기술은 증상이 없는 정상 단계부터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차별화 된다.”라고 밝혔다.

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이동영 교수는 “최근 베타아밀로이드를 타깃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임상시험 실패의 원인으로 대상군 진단의 정확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토대로 정확한 대상군을 선별하면 임상시험 성공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술 관련 내용은 올해 3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와 치료' (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발표했고, 일부는 지난 11일 국내 특허로 등록됐습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