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양양서 높이 8.7cm 금동삼존불 발견…"6세기 국보급 불상"

양양서 높이 8.7cm 금동삼존불 발견…"6세기 국보급 불상"
강원도 양양 진전사지에서 6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삼존불이 나왔습니다.

이 불상은 높이가 8.7㎝로 성인 손바닥 크기에 불과하지만, 삼국시대 불상이 많지 않고 출토지가 명확하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국보급으로 평가됩니다.

문화재청은 양양군과 국강고고학연구소가 지난 7월부터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제122호) 주변에서 진행한 발굴조사에서 석탑 북쪽에 묻혀 있던 삼국시대 금동보살삼존불입상을 찾아냈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이 불상은 불꽃무늬인 화염문이 있는 광배(빛을 형상화한 불상 뒤쪽의 장식물)의 위쪽 일부와 받침대 역할을 하는 연꽃무늬 좌대가 조금 떨어져 나갔으나 보존 상태가 매우 좋은 편입니다.

국립춘천박물관은 불상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청동으로 보이는 이 불상의 재질이 금동이라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 불상은 본존불을 중심에 두고 좌우에 보살을 배치하는 삼존불이지만, 본존불에 부처가 아닌 보살을 둔 점이 특징입니다.

중심에 관음보살이 있고 양옆에는 본존불을 보좌하는 협시보살이 새겨져 있습니다.

관음보살의 머리와 몸에서 나오는 빛은 양각으로 표현됐고, 관음보살이 머리에 쓰고 있는 보관 위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부처인 아미타 화불이 있는 점이 독특합니다.

아울러 관음보살은 다섯 손가락을 편 손을 가슴까지 올렸으며, 보살상이 입고 있는 천의는 좌우로 퍼지는 형태로 조각됐습니다.

관음보살과 협시보살 사이에 구멍이 2개 뚫려 있는 점도 특징으로, 이러한 사례는 처음 확인됐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습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 불상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입상과 좌대, 옷 주름이 유사하다"며 "세 가닥으로 올라간 보관, 옷 주름, 화불 등으로 미뤄볼 때 6세기에 만들어진 세련된 불상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