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청소년 알코올중독 5년간 7천800명…첫 음주 13살 때"

"청소년 알코올중독 5년간 7천800명…첫 음주 13살 때"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알코올중독으로 치료받은 10~19세 청소년 환자 수가 총 7천8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증가 폭은 25%에 달해 청소년 음주 예방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광수 의원(국민의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알코올중독 현황'에 따르면 10대 알코올중독 환자는 2012년 1천415명, 2013년 1천304명, 2014년 1천588명, 2015년 1천726명, 2016년 1천76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남성보다는 여성 청소년의 알코올중독 증가 폭이 컸습니다.

10대 여성 알코올중독 환자는 2012년 590명에서 2016년 761명으로 29%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10대 남성 청소년 알코올중독 환자는 825명에서 1천6명으로 22% 늘었습니다.

지난해 기준 청소년 연간 음주율은 15%, 첫 음주 경험을 한 나이는 13.2세로 조사됐습니다.

연간 음주율은 최근 30일 동안 한잔 이상의 술을 마신 적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또 식약처의 상반기 주류 소비·섭취 실태조사 결과 음주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29.2%는 '고위험 음주' 경험이 있었습니다.

고위험 음주는 소주를 기준으로 남성은 8.8잔 이상, 여성은 5.9잔 이상 음용한 경우를 칭합니다.

음주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주류를 섞어 마시는 폭탄주를 마신 적이 있다는 경우도 37.5%에 달했습니다.

청소년 음주 문제가 이처럼 심각한데도 불구하고 예방 프로그램 등에 들이는 정부의 예산과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의원실은 지적했습니다.

흡연 예방 및 절주 사업을 맡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흡연 관련 부서는 4개 팀 총 직원 29명인데 반해 음주 관련 부서는 1개 팀 9명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또 2014~2017 금연 관련 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232억원인 반면 음주 관련 사업은 13억원으로 크게 낮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