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득 5천만 원에 집 10채, 빚이 7억…"유동성 줄면 파탄"

소득 5천만 원에 집 10채, 빚이 7억…"유동성 줄면 파탄"
우리나라의 전체 가계대출 채무자는 1천857만 명,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채무자는 622만 명입니다.

집을 2채 이상 가진 것으로 보이는 다주택 대출자는 132만 명이고 나머지 490만 명은 1주택 대출자입니다.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나이스(NICE) 평가정보의 지난 6월 기준 자료를 토대로 다주택자의 소득·부채 현황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주택을 많이 갖고 있을수록, 즉 대출 건수가 많을수록 소득과 부채가 모두 많았습니다.

빚을 갚을 능력(소득)이 되니 빚을 많이 냈고, 이 빚을 활용해 집을 더 사들였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정 의장실은 주택담보대출 1건을 받은 사람부터 11건 이상 받은 사람까지 구분했습니다.

일각에선 2주택자가 아닌 3주택 이상이야말로 엄밀한 의미의 다주택자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2주택자와 3주택자는 부채 측면에서 달랐습니다.

2주택자는 101만 명, 3주택자는 23만 명인데 2주택자의 1인당 부채는 1억9천899만 원, 3주택자는 2억6천261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4주택자(6만 명), 5주택자(2만 명) 등으로 주택 보유량이 늘수록 빚도 많았습니다.

1주택∼10주택자는 주택 보유 건수가 늘어날 때마다 평균 6천788만 원씩 대출이 많았습니다.

대출 건수가 많다고 해서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눈에 띌 만큼 많지는 않았습니다.

1주택자 490만 명의 연평균소득은 4천136만 원이다.

집을 10채 가진 10주택자 390명의 연평균 소득은 4천72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집을 1채 가진 사람과 10채 가진 사람의 대출 격차는 1주택자 1억3천182만 원, 10주택자 7억4천272만 원으로 6억 원을 넘는 반면 소득 격차가 600만 원에도 못 미친다는 겁니다.

이 같은 통계에 대해 정 의장 측은 '갭 투자'와 임대업자로 설명했습니다.

"1명이 집 10채라니, 웬만한 대가족이라도 어렵지 않겠느냐. 결국 실제 거주하지 않는 집들이고, 전세를 놨거나 월세를 받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보고 무리해서라도 빚을 끌어다 전세 등을 낀 채 집을 사들였다는 의미입니다.

정부는 소득에 견줘 원리금 상환 부담을 꼼꼼히 따지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입되는 게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DTI)을 개선한 신(新) DTI, 그리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입니다.

신 DTI는 내년부터, DSR는 2019년부터 본격 시행됩니다.

DSR를 계산한 결과 5주택자(103.4%)가 되는 순간부터 100%를 넘었습니다.

DSR 100% 이상은 모든 부채의 원리금을 매년 똑같이 나눠 갚는다고 가정할 경우 소득으로 원리금을 다 갚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정 의장 측은 "3건 이상 다주택자의 평균 DSR는 80.2%로 많은 수가 임대소득으로 원리금을 갚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임대소득을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거나, 거치 기간이 끝나 갑자기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는 등 유동성 흐름이 나빠지면 연체에 빠질 우려가 매우 커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