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총선 앞둔 캄보디아 '공포 정치' 가속…야당 해체 수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야당을 탄압해온 캄보디아 훈센 총리가 급기야 야당 해체라는 초강수 카드까지 꺼내 들었다.

7일 현지 언론과 외신 보도에 따르면 캄보디아 내무부는 전날 대법원에 제1야당인 캄보디아구국당(CNRP)의 강제 해산을 요청했다.

내무부 법무팀은 CNRP가 외부세력의 명령을 받거나 국가 이익에 반하는 행위를 한 개인과 결탁했다며, 이는 정당이 국가안보를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정당법을 어긴 것이라고 주장했다.

캄보디아 내무부 측 변호사인 카이 텍은 "대법원이 CNRP를 해체해야 하는 강력하고 충분한 증거가 있다"며 "만약 CNRP를 그대로 놔둔다면 국가가 파괴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처는 내년 7월 총선을 앞두고 캄보디아 정부가 '반역자 단속'을 이유로 최근 지방선거에서 강세를 보인 CNRP를 탄압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캄보디아 경찰은 지난달 CNRP의 켐 소카 대표를 반역 혐의로 체포했고, 이후 CNRP는 소속 의원 절반이 해외로 도피하면서 와해 위기에 직면했다.

훈센 총리는 켐 소카 대표를 체포한 것이 반역자 단속의 시작이라며 추가적인 조처를 시사했지만, 켐 소카 대표는 자신에게 적용된 정부 전복 혐의가 중상모략이라고 반발해왔다.

태국으로 도피한 무 소추아 CNRP 부대표는 외신과 기자회견에서 "(해외 도피는) 뼈아픈 선택이었다. 체포돼 감옥에서 몇 달을 보내며 침묵을 강요당하는 것이 두려웠다"며 "선거 전까지 시간이 많지 않다. 그래서 해외 도피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32년째 캄보디아의 권력을 쥐고 있는 훈센은 10년 더 집권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집권연장의 걸림돌인 CNRP가 반역행위에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면 해체할 것이라고 공언했었다.

이후 훈센은 4명이 숨지고 40여 명이 다친 2014년 시위를 거론하며 CNRP에 대한 법적 대응을 경고했다.

최저 임금 인상을 요구한 당시 근로자들의 대규모 시위를 야당이 기획한 정부 전복 시도로 규정한 것이다.

강제 해산 위기에 놓인 CNRP는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 4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이후 캄보디아 정계에서는 CNRP가 내년 총선에서 훈센의 집권여당을 상대로 박빙의 대결을 벌일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