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英 옥스퍼드대, '로힝야 인종청소' 논란 아웅산 수치 초상화 떼

英 옥스퍼드대, '로힝야 인종청소' 논란 아웅산 수치 초상화 떼
▲ 2017년 9월 19일 미얀마의 최고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이
수도 네피도에서 국정연설을 하고 있다. 

 
미얀마 최고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의 모교인 영국 옥스퍼드대가 교내에서 설치돼 있던 그의 초상화를 떼어냈습니다.

2일 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옥스퍼드대는 지난달 28일 세인트휴즈칼리지 정문에 전시돼 있던 수치 국가자문역의 초상화를 철거해 창고로 옮겼습니다.

빈 자리에는 일본 국적 예술가인 타카다 요시히로가 기증한 그림이 대신 걸렸습니다.

옥스퍼드대는 성명을 통해 "이 그림을 전시하는 동안 아웅산 수치의 초상화는 당분간 안전한 장소로 옮겨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옥스퍼드대는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에 대한 미얀마군의 인종청소 의혹과 수치 국가자문역이 이를 방조했다는 논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미얀마 독립영웅인 아웅산 장군의 딸인 수치 국가자문역은 15살 때 영국으로 건너가 옥스퍼드대 세인트휴즈칼리지에서 철학과 정치학,경제학을 공부했으며, 1968년에는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99년 사망한 남편 마이클 에이리스 전 옥스퍼드대 교수 역시 유학시절 만난 동문이었습니다.

이후 그는 유엔 등에서 일하다 귀국해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군부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벌였고, 1989년부터 2010년까지 20여 년의 세월 대부분을 가택연금 상태로 지내왔습니다.

그는 이러한 공로로 1991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고, 옥스퍼드대는 2012년 그에게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수여했습니다.

하지만 수치 자문역에 대한 평가는 미얀마 서부 라카인 주에 거주하는 로힝야족에 대한 인종청소 의혹이 불거진 이후 급격히 악화했습니다.

라카인 주에서는 지난 8월 25일 로힝야족 반군이 대(對) 미얀마 항전을 선언하고 경찰초소 30여 곳을 급습하면서 심각한 유혈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미얀마군은 대대적 소탕작전으로 응수했고, 해묵은 종교, 인종갈등까지 불거지면서 현재까지 50만 명이 넘는 로힝야족 난민이 국경을 넘어 인근 방글라데시로 대피했으나, 수치 자문역은 인종청소 의혹을 부인하며 소극적 태도로 일관해 왔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