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운전자 55%, 추석연휴 졸음운전 경험…감기약도 조심"

운전자의 절반 이상이 추석 연휴에 졸음운전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대해상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진행한 추석 연휴 사고유형별 안전대책 연구에 따르면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55.3%가 연휴에 졸음운전을 해봤다고 답했습니다.

운전 집중력이 떨어지기 시작한 시점은 운전 후 2∼3시간 지나면서부터라는 응답이 57.7%로 가장 많았습니다.

현대해상의 사고 데이터를 보면 추석 연휴 졸음운전에 따른 사고는 2014년 53건에서 지난해 86건으로 2년 사이 1.6배로 증가했습니다.

추석 연휴 졸음운전 사고는 평일과 다르게 주로 정오 전후에 발생했습니다.

전체 사고의 39.5%가 오전 11시에서 오후 3시에 몰려 평일(23.9%)에 비해 낮시간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연구소는 추석 연휴가 환절기인 탓에 감기와 비염 환자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약을 먹고 운전대를 잡지 말 것을 충고했습니다.

감기나 비염 치료제에 포함된 항히스타민제가 졸음과 집중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어서입니다.

30∼50대 운전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운전자의 42.8%가 운행 전에 의약품을 복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의약품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운전자의 72.6%가 그로 인해 운전에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습니다.

의약품 복용이 운전에 미친 영향으로 졸음(52.3%)과 집중력 저하(20.6%)를 주로 꼽았습니다.

추석 연휴에는 후미 추돌사고도 평소보다 많이 발생했습니다.

현대해상 사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후미추돌 사고가 전체 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추석 연휴에 30.0%로 9월 평일(23.2%)보다 6.8%포인트 높았습니다.

연구소는 차량 속도의 60% 수준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할 것을 조언했습니다.

예컨대 차량 속도가 시속 100㎞이면 앞차와 60m 정도 거리를 두는 것이 안전하다는 뜻입니다.

연구소가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한 폐쇄회로(CC)TV 영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간에는 66.0%, 야간에는 49.7%가 안전거리를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추석 연휴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할 필요도 있습니다.

현대해상 사고 데이터를 보면 부주의에 따른 운전 사고 중 60.2%가 스마트폰 관련 사고였습니다.

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할 경우 사고위험이 평소보다 2∼5배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에서 63%가 추석 인사를 받게 되면 문자나 통화로 답신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소는 추석 연휴 운전 중에 전화나 문자를 많이 받을 수 있어 부재중 문자를 미리 입력해 답신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