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떡 먹다 목에 걸리면 '하임리히법'으로 대처하세요"

먹을거리가 어느 때보다 풍성한 추석 명절에 음식을 급하게 먹다 목에 걸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8일 소방청에 따르면 음식물로 인해 기도가 막힐 경우 3∼4분 이내에 의식을 잃게 되고, 4∼6분 후에는 뇌사상태에 빠지거나 목숨을 잃을 수 있습니다.

이런 위급한 상황에 필요한 것이 바로 '하임리히법'입니다.

119에 신고를 하고 기다리더라도 구조대원이 오기 전 하임리히법을 실행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환자의 운명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방청은 음식물로 인해 기도 폐쇄가 일어나면 환자에게 먼저 기침을 하도록 유도하고,환자가 기침마저 할 수 없을 때는 '하임리히법'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환자를 돕고 싶은데 하임리히법을 모른다면 신고를 받은 119구급상황관리사로부터 설명을 듣고서 실행에 옮기면 됩니다.

하임리히법은 우선 환자의 뒤에서 양팔로 감싸듯 안고서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한 손은 주먹을 쥔 손을 감쌉니다.

이후 주먹을 환자의 명치와 배꼽 중간지점에 대고 위쪽으로 당기듯 밀어 올리면 됩니다.

음식물이 나올 때까지 이를 반복하고, 만약 환자가 의식을 잃을 경우에는 바로 심폐소생술로 전환해야 합니다.

단 1세 이하의 영아는 대처 방법이 다릅니다.

먼저 허벅지 위에 머리가 가슴보다 아래로 향하도록 엎드리게 한 뒤 손바닥으로 아기 등의 중앙부를 세게 두드려야 합니다.

이후 아기를 뒤집어서 머리가 가슴보다 낮게 가도록 한 뒤 두 손가락으로 양쪽 젖꼭지 약간 아래를 4㎝ 정도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압박해야 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음식물이 나올 때까지 반복합니다.

윤상기 소방청 119구급과장은 "명절에 사고를 대비해 하임리히법 등 기도폐쇄 응급처치 방법을 미리 숙지해달라"며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119에 신고한 후 119구급상황관리사의 안내를 받아 응급처치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작년 한 해 음식물에 의한 기도 폐쇄로 호흡이 곤란해 119구급차로 이송된 응급환자는 366명에 이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