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로봇이 치과의사마저 대신하나…中서 첫 임플란트 시술

로봇이 치과의사마저 대신하나…中서 첫 임플란트 시술
▲ 중국에서 로봇이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모습

중국에서 로봇이 사람의 도움 없이 임플란트 시술을 해 이제 로봇이 치과의사마저 대신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2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중국 과기일보에 따르면 지난 16일 중국 산시성 시안시 병원에서 로봇이 한 여성에게 2개의 인공치아를 삽입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했습니다.

시술 현장에 의료진이 있었지만, 로봇이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할 동안 이들은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았습니다.

임플란트는 0.2∼0.3㎜ 오차범위 내로 삽입됐는데, 이는 통상적인 임플란트 시술에서 허용되는 오차범위입니다.

이 로봇은 시안시에 있는 인민해방군 제4군의 대학 치과병원과 베이징에 있는 베이항 대학 로봇연구소가 4년간의 공동 연구로 개발했습니다.

제4군의대학 치과병원의 의사 자오이민은 "이 로봇은 치과의사의 경험과 기술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라며 "로봇이 임플란트 시술을 함으로써 인간이 저지르는 실수를 피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로봇은 중국의 심각한 치과의사 부족 사태를 해소하고자 개발됐습니다.

중국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기다리는 사람은 400만 명에 달하지만, 치과의사 부족으로 한해 시행되는 임플란트 시술은 100만 건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 환자의 치아 상태가 악화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로봇의 임플란트 시술 전 로봇이 수행할 동작과 각도, 수치 등을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로봇에 입력했으며, 수차례의 테스트를 거쳐 프로그램을 보완했습니다.

시술 때 로봇은 환자의 움직임에 맞춰 수행할 동작을 수정하는 등 고도의 정밀함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근 치의학계에서는 충치 제거, 치아 교정, 의사 연수생 훈련 등에서 로봇을 활용하는 사례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올해 3월 치과의사가 임플란트 시술에서 '요미'(Yomi)로 이름 지어진 로봇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사진=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캡처/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