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잔해 사이로 손만 내민 아이…애끓는 멕시코 학교 붕괴현장

잔해 사이로 손만 내민 아이…애끓는 멕시코 학교 붕괴현장
규모 7.1의 강진이 멕시코를 흔든 지 하루가 지난 20일(현지시간)에도 치열한 구조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현장은 수도 멕시코시티 남부에 있는 엔리케 레브사멘 초등학교입니다.

강진으로 학교 건물 일부가 붕괴하면서 지금까지 7∼13살 어린이 21명, 어른 5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고 발생 후 어린이 11명, 교사 1명은 구조됐습니다.

하지만 아직 다수의 학생들이 건물 잔해 더미 아래 깔려 있어 생사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미 일간지 뉴욕타임스(NYT)는 학생 30명이 여전히 실종상태라며 그들이 살아있을 것이라는 희망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진이 발생한 19일 강진 당일부터 밤샘 구조작업이 이어진 사고 현장은 구조자들과 자원봉사자들, 자식의 생사확인을 기다리는 학부모 등이 얽혀 아수라장입니다.

특히 20일 밤에는 비까지 내려 구조작업을 더욱 어렵게 했습니다.

안전선 밖의 부모들은 자식들이 무사할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나무 위에 올라가거나 운동장 놀이기구 위에 올라가 구조 현장을 지켜봤습니다.

AP통신은 잔해 더미에 갇혀 손가락만 겨우 내민 아이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인력이 필사적으로 매달린 모습을 전했습니다.

혹시라도 아이가 더 다칠까 구조인력은 지렛대 등 각종 장비를 들고 몇시간 동안 잔해더미를 조심스레 파헤치는 작업을 이어갔고, 이 모습은 TV로 생중계돼 지켜보는 이들의 마음을 졸였습니다.

학교 앞 거리 기둥에는 구조된 사람들의 명단이 걸려있습니다.

가족 찾기에는 모바일 메신저 '왓츠앱'도 동원됐습니다.

최소 3명의 부모가 잔해 속 아이들과 왓츠앱으로 대화하며 구체적인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받았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사고 당일은 멕시코 대지진 32주년으로 실제 지진이 일어나기 2시간 전 대피 모의훈련이 있었지만, 정작 실제 상황에선 경보음이 없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지진 발생 당시 영어수업 중이었다는 12살 루이스 카를로스 에레라 토메는 사고 당시 경보음을 듣지 못했다고 AP통신에 말했습니다.

그는 "내가 화가 나는 게 바로 그것"이라며 "거기서 몇 초를 잃어버린 것이냐"고 분통을 터트렸습니다.

사고 당시 그는 가방이고 책이고 팽개치고 교실 문밖으로 나와 본관 계단으로 향했지만, 벽이 무너지는 걸 보고 몸을 돌려 다른 계단으로 달려 나왔다고 끔찍했던 순간을 전했습니다.

이번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초등학교 희생자들을 포함해 총 230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멕시코 정부는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사흘간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