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낮에 자꾸만 조는 아이 '수면장애' 의심해야"

"낮에 자꾸만 조는 아이 '수면장애' 의심해야"
아이들이 낮에 쏟아지는 졸음을 참지 못해 꾸벅꾸벅 조는 일이 잦다면 수면장애일 수도 있는 만큼 전문가 진료를 받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이지훈 교수, 이지원 임상강사)·신경과(주은연 교수) 공동 연구팀은 낮 동안 과다졸음을 이유로 병원을 찾은 청소년 중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133명을 분석한 결과 수면장애와의 상관성이 관찰됐다고 오늘(21일) 밝혔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수면과 호흡'(Sleep and Breathing) 최근호에 발표됐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낮에 과다졸음 증상을 보인 청소년의 평균 나이는 15.3세였습니다.

이들 청소년은 주중 기준으로 대개 밤 11시 44분쯤 잠이 들어 아침 7시 20분쯤 기상했으며,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30분 정도였습니다.

연구팀은 수면다원검사와 다중입면잠복기검사 등으로 수면장애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우울감도 함께 살폈습니다.

이 결과 밤에 충분한 수면에도 청소년들이 낮에 졸거나 잠에 빠져드는 데는 기면증이 가장 큰 원인이었습니다.

133명 중 절반이 넘는 78명(58.6%)이 기면증으로 진단됐습니다.

기면증은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중추 신경계의 부분적인 장애가 원인입니다.

최근에는 뇌에 있는 '하이포크레틴'이라는 단백질 부족이 새로운 발생 원인으로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낮 동안 과다졸음은 우울감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102명 중 53명(52%)이 우울감을 호소했습니다.

특히 우울감을 호소하는 청소년 중 73.6%(39명)는 우울감 정도가 중등도 이상이어서 심각성을 더했습니다.

이지훈 교수는 "아이들이 한창 활동할 시간에 과도하게 잠에 빠지는 것은 수면장애일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학습장애나 문제행동, 기분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딱히 수면시간이 부족해 보이지 않는데도 낮 동안 잠을 이기지 못한다면 수면장애 가능성이 큰 만큼 진료를 받는 게 좋다"고 권고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