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얀마, 美 관리 로힝야 유혈사태 현장 방문 불허

미얀마, 美 관리 로힝야 유혈사태 현장 방문 불허
▲ 구호품 나르는 로힝야족 난민들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에 대한 '인종청소' 논란에 휩싸인 미얀마가 미국 고위 관리의 유혈충돌 현장 방문 불허 방침을 정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습니다.

미얀마 라카인주주 정부 틴 마웅 스웨 총괄행정국장은 오는 18일 자국을 방문하는 패트릭 머피 미 국무부 동남아 담당 부차관보의 마웅토 지구 방문 일정에 대해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다만, 틴 마웅 스웨 국장은 머피 부차관보가 주도인 시트웨에서 주지사 등을 면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얀마-방글라데시 국경 인근의 마웅토는 로힝야족 집단 거주지로, 지난달 25일 로힝야족 반군단체인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이 경찰초소 30여 곳을 습격하면서 미얀마군과 유혈충돌이 시작된 곳입니다.

지금까지 유혈충돌로 400여 명이 숨지고 40만 명에 육박하는 로힝야족 난민이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도피했습니다.

국경을 넘어 탈출한 난민들은 미얀마군이 로힝야족 반군이 민간인을 학살하고 집에 불을 질렀다고 주장했고, 국제사회는 이를 '인종청소'라고 규정해 강도 높게 비판해왔습니다.

미국도 지난 11일 백악관 성명을 통해 미얀마 정부에 민간인 보호를 촉구했고,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도 미얀마군의 '인종청소'를 멈추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과거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 시절 민주적인 총선을 통해 출범한 아웅산 수치의 문민정부를 전폭 지지했고, 미얀마에 대한 경제제재를 전면 해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는 미얀마의 인권 등에 대해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지난달 25일 미얀마군과 로힝야족 반군의 유혈충돌이 격화하면서 최악의 난민 사태가 불거지자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동남아 담당 고위 관리를 현지에 파견하면서, 최근 국제사회의 핵심 이슈로 부상한 로힝야족 유혈사태에 본격 개입하는 게 아닌가 하는 관측이 제기됐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