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월 서울 주택 경매 낙찰가율 '뚝'…8·2대책 여파

낙찰가 하락폭, 2003년 10·29 대책·2008년 금융위기 때 유사

8월 서울 주택 경매 낙찰가율 '뚝'…8·2대책 여파
정부의 고강도 8·2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지난달 서울 주거시설의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13일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8월 전국 법원경매는 8천226건이 진행돼 3천336건이 낙찰됐다.

8월 진행건수는 전월 대비 486건 감소하며 올해 들어 다섯 번째로 역대 최저치(2001년 1월)를 갱신했다.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낙찰률(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도 40.6%로 전월 대비 2.3%포인트 감소하며 낙찰건수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8월 전국 평균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1.3%포인트 하락한 73.9%를 기록했다.

특히 8·2 대책이 겨냥한 서울 지역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6.4%포인트 하락하며 90.3%에 그쳤다.

서울 주거시설 낙찰가율이 6%포인트 이상 빠진 것은 2008년 7~8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2003년 11월 노무현 정부의 10·29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처음이다.

총 6개 구가 청약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부산도 8월 낙찰가율이 전월 대비 4.7%포인트 감소하며 92.4%에 그쳤다.

주거 시설의 낙찰가율 하락은 토지에도 영향을 미쳐서 7월에 8년 9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던 토지 경매 낙찰가율도 5%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반면 업무상업시설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감정가 물건들의 고가 낙찰이 이어지면서 낙찰가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국적으로 평균 응찰자 수도 감소했다.

8월 전국 평균 응찰자 수는 3.9명으로 전월 대비 0.3명 줄었다.

지난 1월(3.9명)에 이어 7개월 만의 최저치이다.

8·2 대책의 직격탄을 맞은 서울 주거시설 평균 응찰자 수는 7월 7.7명에서 3.7명이 감소해 4.0명에 그쳤다.

지지옥션 이창동 선임연구원은 "주거시장을 중심으로 대책 이후 관망세가 이어지며 평균 응찰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 한 달이었다"며 "물건 감소라는 악재와 함께 대출 규제,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하락 등 투자 여건이 부정적으로 변하면서 하반기 경매 시장에서는 본격적인 낙찰가율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