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약사 부족 심각하다며…' 충원 백지화 움직임에 대학들 반발

"신약 개발 등 위해 서둘러야…기득권에 휘둘리면 안 돼"<br>복지부 "찬반 의견 팽팽해 아직 결정 못 내려"

보건복지부가 약사 인력 충원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약대 유치를 추진해온 대학의 반발을 사고 있다.

대학들은 복지부가 신약 개발 등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약사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기득권의 입김에 휘둘려 정책 일관성을 잃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내비치고 있다.

8일 약대 유치를 추진해온 전북대, 제주대 등 대학들과 정치권에 따르면 약사를 비롯한 의료인력 수급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기로 한 복지부가 아직껏 방침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대학들은 복지부가 내부적으로 약사 등의 의료인력 충원을 당분간 하지 않기로 입장을 뒤집으면서 발표가 지연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5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한 '2017년 주요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연구 결과 약사와 간호사 등이 크게 부족할 것으로 나왔다며 이른 시일 내에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 약사는 2020년 7천139명, 2025년 8천950명, 2030년 1만742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문가들은 약사의 영역이 임상약학, 약물 맞춤치료, 약물 컨설팅 등으로 점차 전문화되는 점을 고려하면 연구 약사를 중심으로 한 인력 수요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약대 유치를 추진해온 대학들은 "복지부의 약사 인력 확충 방침에 맞춰 약대 유치에 매진해왔는데 정부 정책이 이렇게 돌변해도 되느냐"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전북대는 천연 농산물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을 전문적으로 할 연구 약사를 양성하기로 하고 신약개발연구소와 8개의 임상 시험 관련 연구센터를 구축했다.

의학·치의학·농생명·화학공학 등 관련 학과와의 협력 기반도 만들었다.

채한정 전북대 약학대학유치추진단장은 "미래 먹거리가 될 신약 개발 등의 인력 수요를 고려하면 약사 부족 상황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며 "복지부도 이를 인정해놓고 인제 와서 차일피일 결정을 미루는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채 단장은 "복지부가 국민 건강과 국가 미래를 중심에 놓고 현명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며 "혹시라도 약사들의 '밥그릇 지키기' 논리에 휘둘리는 일은 없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허향진 제주대 총장도 "제주지역에는 약대가 없어 약사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어렵다"면서 "언제까지 지역사회가 이런 피해를 봐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제주대는 개업 약사뿐만 아니라 지역에 산재한 약용식물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을 선도할 연구 약사를 함께 육성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약대 유치에 매진해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양승조(충남 천안병) 의원도 최근 "약사와 의사의 부족현상은 해가 거듭될수록 심각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는데도 복지부가 아직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약사 인력 확충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하며,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 "양측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조만간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겠다"고 원칙적인 답변을 내놨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