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개 드는 北 원유공급 단계적 차단…문제는 러시아·중국

<앵커>

현실적으로 북한에 대한 가장 강도 높은 제재가 바로 원유공급을 끊는 건데 들으신 대로 러시아와 또 중국을 설득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유엔에서도 원유공급을 완전차단하는 것보다는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쪽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 소식은 안정식 북한 전문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9월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제재 결의안 2321호에는 북한의 석탄 수출을 연간 4억 달러, 750만 톤 이하로 제한하는 조항이 담겼습니다.

북한산 석탄 수입 금지에 난색을 표하는 중국과의 타협과정에서 석탄 수출의 상한선이 설정된 것입니다.

이번 유엔제재의 핵심인 대북 원유공급 중단을 놓고도 비슷한 경로를 밟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북-중간 32㎞ 송유관을 운용하고 있는 중국에, 미국은 '세컨더리 보이콧'이나 '군사적 옵션'을 내세워 압박하는 형세입니다.

중국은 원유 전면 차단에는 여전히 부정적이지만, 확산하는 '중국 책임론'에 어느 때보다 난처한 입장입니다.

[겅솽/中 외교부 대변인 : 유엔 안보리가 최근 북한 핵실험에 어떤 반응과 행동을 보일지는 안보리 회원국의 토론으로 결정될 것입니다.]

러시아도 원유차단에 부정적이지만, 안보리 논의과정에서 원유차단 문제를 마냥 거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김한권/국립외교원 교수 : 단계적으로 원유의 공급량을 줄여나가면서 압박을 높여가는 것은 (중, 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략적 카드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이번 제재에서는 원유공급을 어느 정도까지 줄일 것이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원유공급이 일부 감축되더라도 앞으로 완전중단까지 연결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영상편집 : 김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