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文 대통령, 이틀째 일정 비우고 방러·정상회담 준비 전념

文 대통령, 이틀째 일정 비우고 방러·정상회담 준비 전념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2일) 이틀째 공식일정을 잡지 않은 채 나흘 앞으로 다가온 취임 후 첫 러시아 방문길 준비에 전념하는 모습입니다.

문 대통령은 참모들이 작성한 보고서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면서 러시아 일정에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시아 정부가 극동지역 개발을 위해 주최하는 국제회의인 동방경제포럼 참석차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하는 것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러시아, 일본 정상과의 회담이 예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인접 국가인 러시아·일본 정상과의 회담은 결과에 따라 역내 분위기 반전의 마당을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연쇄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 방침 천명과 더불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두 나라의 공조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은 물론 러시아의 협력이 절대적"이라면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 이행에 러시아도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이 미국·일본 양국과 더불어 추가 대북제재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반면, 러시아는 현재 압박보다는 대화에 방점을 찍은 스탠스를 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궁극적으로는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바라는 한국이 왜 현재로서는 대북제재를 강화할 수밖에 없는지 그 당위성을 설명하는 데 치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베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도 화두는 역시 북핵 문제가 될 전망입니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최근 미사일 도발 하루 뒤인 지난달 30일 전화통화 때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나 공동 대응 방안을 추가로 논의하기로 약속한 바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당시 북한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지난 것과 관련해 '이웃 국가에 대한 폭거'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북한의 도발을 강력히 비난했으며, 이런 점으로 미뤄볼 때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이 스스로 대화의 장에 나올 수 있도록 만드는 실질적 제재 방안이 논의할 확률이 높습니다.

북핵 이슈 이외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그리고 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언급한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 등도 얼마든지 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를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러시아 방문은 경제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문 대통령은 이 부분에도 공을 들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을 넘어 유라시아까지 묶는 '북방경제' 건설이라는 원대한 목표는 정권을 뛰어넘어 추진해야 할 과제지만 현재는 여건이 허락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당장은 남·북·러 삼각협력이 어렵다 해도 그것은 장기목표대로 추진하고 러시아와 추진할 수 있는 일은 서둘러 착수해 성과를 내게 하겠다는 복안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는 7일 열리는 제3차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자신의 '신(新) 북방정책 비전'을 밝힐 계획입니다.

신 북방정책 비전은 러시아 극동 지역과 중국 동북3성, 중앙아시아 국가와 몽골 등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더 체계적으로 활성화한다는 구상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