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술핵 재배치" 美에 공식 거론…미사일 개정도 속도

<앵커>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한반도에 전술핵을 재배치하는 문제가 공식적으로 거론됐습니다. 국방부는 원론적 수준의 언급이었다고 의미를 축소했지만 북한의 도발이 계속될 경우 대북 억지력 확보 차원에서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 손석민 특파원입니다.

<기자>

회담에서 송영무 국방 장관은 "야당과 보수층에서 안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전술핵을 다시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전술핵은 국지전에 사용하는 소형 핵무기로 야포나 단거리 미사일에 탑재하는 핵탄두와 핵 지뢰, 핵 배낭이 포함됩니다.

전술핵은 1957년 한반도에 처음 배치됐다가 1991년 한반도 비핵화 선언으로 완전히 철수했습니다.

국방부는 회담 이후 대북 억제력 관련 논의를 하던 중 한국 내 일각의 의견을 전한 그야말로 원론적 수준의 언급이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그럼에도 정부·여당이 반대해온 전술핵 재배치가 공식 석상에서 처음 거론됐다는 점에서 논란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양국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한 핵 추진 잠수함 구비와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 완화, 전시작전통제권 조기 환수 문제 논의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송영무/국방장관 : 북한은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고 우리를 위협하는데, 한국의 대응능력을 좀 강화시켜야 하겠다.]

매티스 장관은 사드 추가 배치에 민주적 절차를 밟겠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도 충분히 이해한다고 밝혔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 : 같이 갑시다. 우리는 함께 나아갈 것입니다.]

북한의 도발에 대응할 거의 모든 카드가 장관회담에서 거론됐습니다. 이른바 코리아 패싱 논란을 불식시키고 한미 공조에 빈틈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차원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