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현대·기아, 차와 교신하는 도로 14㎞ 구축…자율주행 '박차'

현대·기아차가 자동차와 도로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본격적으로 자율주행차 개발에 나섭니다.

현대·기아차는 경기도 화성시 내 약 14㎞ 구간에 '차량과 사물 간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검증과 연구를 시작한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 시스템은 차와 도로 등 인프라, 차와 차, 차와 보행자끼리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교통·도로상황과 차·보행자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기술로, 안전한 자율주행 차를 실현하는 데 꼭 필요한 시스템입니다.

자율주행차의 레이다, 센서, 카메라만으로는 완벽한 자율주행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말 화성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이 시스템을 실제 도로에 구현하고 검증하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현대·기아차는 남양연구소-화성시청-비봉IC 구간 내 7개 교차로에 ▲ 차량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지국 ▲ 보행자 감지를 위한 CCTV 카메라 ▲ 교통신호 정보 송출 가능한 교통신호 제어기 등 각종 장비를 설치했습니다.

앞으로 V2X 통신 장치가 탑재된 50여 대의 시험차량은 이 구간을 운행하며 차량-차량 정보 서비스, 차량-인프라 정보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예정입니다.

차량-차량 정보 서비스 연구의 초점은 교차로 통과 시 주변 차와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운전자에게 성공적으로 제공하는지, 전방 차량 급제동에 따른 충돌 가능성을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지 등에 맞춰집니다.

차량-인프라 정보 서비스 부문에서는 횡단보도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운전자에게 사전에 경고하는 서비스, 현재 신호 상태와 남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남은 신호 시간과 차량 속도를 분석해 교차로 신호위반 가능성을 경고하는 서비스 등을 점검합니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연말까지 분석 결과와 운전자 의견을 취합해 이 시스템을 개선한 뒤 정부가 2020년까지 추진하는 '고속도로 차량 통신 인프라 구축 사업'에 맞춰 서비스를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