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강남구 인구·면적, 강북구의 1.7배인데 은행 점포 수는 10배

서울에서 은행 점포가 가장 많은 곳은 강남구, 가장 적은 곳은 강북구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현재 4대 시중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 서울에 1천540개 지점을 운영 중입니다.

이 가운데 강남구에는 226개의 지점이 있습니다.

서초구 140개, 중구 115개, 송파구 108개, 영등포구 86개 순으로 많습니다.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가 474개로 서울 전체의 약 30%를 차지했습니다.

은행 지점이 가장 드문 지역은 강북구로 4대 시중은행을 합쳐 22개에 불과했습니다.

도봉구 24개, 중랑구 25개, 은평구 30개, 관악구·금천구 각 36개 순으로 적습니다.

강남구의 은행 지점이 강북구의 10배를 넘는 셈입니다.

그렇다고 강남구의 인구나 면적이 강북구의 10배 수준에 달하는 것은 아닙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991만 명 가운데 주민등록이 강남구에 있는 사람은 56만 명으로, 강북구(33만 명)의 1.7배 정도입니다.

면적은 강남구가 39.5㎢로, 역시 강북구(23.6㎢)의 약 1.7배입니다.

인구가 밀집한 서울에서도 이처럼 은행 점포 수의 지역별 격차가 큰 이유는 수익성과 은행의 영업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은행들은 매년 경영 전략을 짜면서 점포를 재배치하고 통·폐합하는데 '장사가 되는 지역'의 점포는 늘리고, 그렇지 않은 지역은 줄입니다.

4대 시중은행의 강남구 점포 예금 잔액은 국민 18조5천억 원, 신한 15조 원, 우리 15조2천억 원, 하나 7조 원 등 55조7천억 원입니다.

반면 강북구 점포들의 예금 잔액은 국민 1조3천억 원, 신한 6천억 원, 우리 9천억 원, 하나 7천억 원 등 3조5천억 원입니다.

결국 예금 잔액만 놓고 따져도 '부자 동네'인 강남구가 강북구의 약 16배에 달한 셈입니다.

이들 지역에서 일으키는 대출 역시 차이가 날 수밖에 없고, 은행은 수익원인 예대 마진을 따져 점포를 운영한다는 논리입니다.

인구 12만 명에 면적 9.96㎢인 중구, 인구 37만 명에 면적 24.53㎢인 영등포구의 은행 점포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이들 지역에 기업이 밀집했거나 상권이 발달한 것과 관련 있습니다.

은행들은 전반적으로 이 같은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는 추세입니다.

인터넷뱅킹·스마트뱅킹 등 비대면 거래의 비중이 늘고, 점포를 운영하기에는 임대료와 인건비 부담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스탠다드차타드·씨티를 포함한 6개 시중은행의 국내 지점은 2012년 말 4천292개에서 지난 3월 말 3천568개로 4년여 만에 724개(16.9%)가 사라졌습니다.

여기에 최근 카카오뱅크·케이뱅크 등 인터넷 전문은행이 돌풍을 일으키면서 은행들의 점포 축소는 한층 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씨티은행이 최근 소비자 상대 점포 126개 중 101개를 없애려다 노동조합의 반발 등에 부딪혀 폐쇄 대상 점포를 90개로 축소한 게 단적인 예입니다.

다만 비용 대비 효과만으로 은행 점포 문제를 풀어선 안 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은행은 정부가 진입 장벽으로 보호하는 만큼, 공공재의 역할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박용진 의원은 "국내 은행은 대부분 국민 세금인 막대한 공적자금으로 회생한 이력이 있다"며 "이런 측면에서 은행은 일정 부분 공적인 역할도 감당할 의무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