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EU "살충제 오염 달걀 17개국서 유통"…파문 아시아까지 확산

EU "살충제 오염 달걀 17개국서 유통"…파문 아시아까지 확산
유럽연합(EU)은 '살충제 피프로닐 오염 달걀'이 유럽은 물론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도 유통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다니엘 로자리오 EU 통상·농업담당 대변인은 현지시각 11일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피프로닐에 오염된 달걀이나 달걀 제품이 유통된 것으로 확인된 나라는 모두 17개국이라면서 EU 15개국과 스위스, 홍콩을 거론했습니다.

EU 회원국 중에서는 벨기에와 네덜란드, 독일 외에 스웨덴,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덴마크 등에서 피프로닐 오염 달걀이 유통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동안 유럽에 국한됐던 '피프로닐 오염 달걀 파문'이 아시아까지 확산하자 EU는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한 비상대책회의를 소집했습니다.

비테니스 앤드리우카이티스 EU 보건·식품안전 담당 집행위원은 "가능한 모든 정보를 취합하는 대로 이번 사태와 관련한 각 회원국 담당 부처 장관과 식품안전 기관 대표 등이 모여 고위급 회담을 열자고 제안했다"고 전했습니다.

EU 집행위가 비상대책회의를 소집한 건 EU가 '피프로닐 오염 달걀'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벨기에와 네덜란드, 독일 등 주요 관련국 간에 책임 떠넘기기 양상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앤드리우카이티스 집행위원은 언론발표문에서 벨기에와 네덜란드, 독일을 겨냥해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면 우리는 설 자리가 없다"면서 "이런 것을 중단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우리의 공통된 업무와 우선 과제는 이번 사태를 수습하고, 시스템을 개선하고 범죄행위를 방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독일 정부는 살충제 오염 달걀 파문이 터지자 피프로닐을 닭 농장 방역에 사용한 것은 범죄행위라면서 벨기에 정부가 즉각 이를 주변국에 알리지 않은 것을 비판한 뒤 모든 정보를 공개하라고 촉구했습니다.

EU 집행위도 벨기에 정부가 피프로닐 오염 달걀이 발견되고 한 달 후인 지난 7월 20일에야 이를 EU에 통보해왔다며 벨기에의 '지각통보'를 지적했습니다.

그러자 벨기에 정부는 작년 11월에 이미 네덜란드에서 피프로닐 오염 달걀의 존재를 시사하는 내부보고서가 있었다면서 파문이 커진 책임을 네덜란드에 떠넘겼습니다.

이후 네덜란드 정부가 이에 발끈해 당시 달걀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고 반박하는 등 논란이 이어졌습니다.

EU 집행위가 주관하는 '피프로닐 오염 달걀 비상대책회의'는 다음 달쯤 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에디트 시퍼스 네덜란드 공중보건부 장관은 처음으로 네덜란드 정부가 이번 사태를 다루는데 있어서 실수를 범했다고 인정했다고 네덜란드 언론들이 전했습니다.

공동 수사에 나선 네덜란드와 벨기에는 피프로닐의 제조·유통과 관련된 8곳을 긴급 압수수색하고, 피프로닐 살충제를 닭 농장 방역작업에 사용한 네덜란드 방역회사 '칙프렌드'의 간부 2명을 체포했습니다.

현지에서는 이번 파문을 계기로 달걀을 원료로 가공한 식품이나 닭고기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네덜란드 식품안전기구인 NVWA는 조사 결과 달걀을 원료로 한 식품의 경우 피프로닐에 오염된 달걀이 사용됐다고 하더라도 피프로닐이 소량이어서 안전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닭고기도 피프로닐이 주로 달걀에 축적되기 때문에 건강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