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 장면 등을 둘러싼 감독과 여배우 간 갈등이 불거지며 영화계가 대응에 나섰습니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인의 성평등 환경 조성을 위한 성폭력(성차별) 실태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영화 관련 단체들은 지난 5월부터 시작한 실태조사 결과가 10월 초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범 영화계 성폭력 대응기구를 구성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처럼 영화계가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은 최근 노출 장면이나 촬영 강요 등을 둘러싼 갈등이 잇따라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법적공방으로까지 이어진 데 따른 것입니다.
최근 김기덕 감독은 영화 촬영 과정에서 폭력적인 언사와 촬영 강요 의혹으로 여배우에게 고소당했습니다.
이 여배우는 2013년 개봉한 김 감독의 영화 '뫼비우스'를 촬영하던 중 감정 이입을 위한 연기 지도라는 명목 아래 뺨을 맞고 폭언을 들었으며 대본에 없는 촬영을 강요당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결국 영화 출연을 포기했던 이 배우는 불이익을 받을 것을 우려해 고소를 포기했다가 올해 초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과 함께 김 감독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앞서 영화 '전망 좋은 집'의 이수성 감독과 배우 곽현화도 노출 장면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이 감독은 2012년 10월 '전망 좋은 집' 극장 개봉 당시 주연 배우인 곽 씨의 요청에 따라 가슴 노출 장면을 삭제하고 개봉했지만, 2013년 11월에 노출 장면을 추가해 IP(인터넷) TV 등에 서비스했습니다.
이에 곽현화씨는 이 감독을 성폭력처벌법 위반 혐의로 형사고소했고, 올 초 법원은 1심에서 이 감독에게 무죄를 선고했으며 2심 판결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처럼 영화계 내 성폭력 문제가 공론화하자 영진위는 실태조사에 나서는 한편 성폭력 범죄 확정판결을 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위원회 지원사업에서 배제하고 영진위 지원 영화에 대해 성폭력 예방교육 이수를 의무화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한국영화산업노조와 여성영화인모임 등 영화계 관련 단체들은 영화 현장의 성폭력 문제를 신고받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역할을 할 대응기구를 준비 중입니다.
영진위 공정환경조성센터 한인철 팀장은 "이런 일들이 과거부터 관행적으로 발생했지만, 출연기회를 얻는 것 자체가 어려운 대부분의 배우는 약자 입장이어서 향후 불이익을 두려워해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영화산업노조 안병호 위원장은 "감독과 제작자가 예술이라는 미명하에 합의되지 않은 사항을 즉흥적으로 강요하며 이 과정에서 약자인 배우나 스태프의 입장은 고려되지 않는다"며 "유명 스타를 제외한 대부분의 배우는 감독이 약속했던 것보다 과한 요구를 하더라도 반대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