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금융당국, 금융권 일자리 늘리기 나선다

금융당국, 금융권 일자리 늘리기 나선다
시중은행들이 하반기 채용문을 활짝 연 가운데 금융당국도 일자리 늘리기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으면서 금융당국은 정책금융 지원체제를 전면 개편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중소 벤처 등 혁신기업에 자금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규제 완화 등을 통해서도 금융권에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와 관련해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26일 첫 기자간담회에서 "가칭 금융권 일자리 창출위원회를 만들어 금융업계, 범 금융권에서 일자리 창출 등 생산적 방향으로 금융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필요한 게 뭔지, 금융회사들이 요구하는 게 뭔지 의견을 모아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다음 달 중 금융발전심의회 내 특별위원회로 금융권 일자리 창출위원회를 만들어 생산적 금융 과제를 발굴해 신속히 추진하는 전담 추진체계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금융당국은 금융권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는 대표적 분야로 금융과 IT의 융합인 핀테크 산업을 꼽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금융혁신 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 핀테크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금융서비스가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하반기 중 금융업 인허가 절차 개선을 통해 창의적 신규사업자 진입도 촉진합니다.

당장 핀테크를 기반으로 출범과 함께 돌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 전문은행들은 인력 채용을 늘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카카오뱅크는 서비스 개시 4일 만에 160∼170명 가량 되는 콜센터 인력의 증원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작년 말 출범한 케이뱅크도 채용인력이 200명 가량 됩니다.

금융당국은 또 9월까지 금융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방안을 마련해 좋은 일자리 창출을 공공부문이 선도하고 민간으로 확산한다는 방침입니다.

금융부문 무기계약직과 기간제근로자, 직원외 고용 등 비정규직은 지난 1분기 말 국내 은행권 임직원 13만4천154명 중 26%에 달합니다.

다만 핀테크 발달에 따른 비대면 거래 확대로 인해 은행들이 점포폐쇄와 희망퇴직에 나서면서 금융권 일자리수가 늘어나는 것에 비해 주는 속도가 더 빠른 점은 금융당국에 족쇄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금융·보험업 취업자 수는 계절조정 기준 76만7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만명 감소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폭풍이 거셌던 2009년 10월 이후 7년 7개월 만에 최저수준으로 추락한 것입니다.

금융권 일자리 수는 올해 들어 3만 천개, 2013년 정점보다는 12만2천개나 사라졌습니다.

노동계에서는 앞으로 5년간 은행점포 수가 30%가량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성낙조 금융노조 수석부위원장은 "씨티은행 사례가 단적인 예지만, 빠르면 5년 내 은행점포 수가 30%가량 줄어들 수 있다고 본다"면서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지겠지만, 4차 산업 혁명으로 만들어지는 일자리보다 없어지는 일자리가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금융노조는 다음 달 3일 KB·신한 등 시중은행 노조 정책 담당자들을 실무위원으로 한 4차산업 혁명 대응 태스크포스팀을 발족하고 대응책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