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美 상원 대북제재 패키지 법안 가결에 "대화로 해결해야"

미국 상원이 북한 원유 수입을 차단하는 내용을 담은 '북한·러시아·이란 제재 패키지법안'을 통과시킨 데 대해 중국이 대화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반대 의사를 피력했습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법안 통과와 관련해 "중국은 국가 간 갈등에 대해 일관 되게 우호적인 대화를 통해 적절히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며 이 같은 입장을 전했습니다.

루 대변인은 "중국은 특정 국가가 걸핏하면 단독제재를 사용하는데 대해 찬성하지 않는다"며 "만약 이번 조치로 인해 중국의 이익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중국은 결연히 반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국 외교부는 일본 정부가 발표한 대북 단독제재 명단에 중국 단둥은행과 해운사인 다롄국제해운 등 5개 단체와 개인 9명이 추가된 것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발했습니다.

루 대변인은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견지해 왔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관련 결의를 전면적으로 집행해 왔다"면서 "어떤 국가라도 안보리 결의 외에 단독제재를 시행하고 특히 중국 단체와 개인을 겨냥한 제재에 나서는데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루 대변인은 일본 정부에 "어떤 국가를 따라 남과 자신을 해치는 조처를 하는 것은 돌을 들어 스스로 발등을 찍는 것과 같다"며 "중국은 절대로 일본의 잘못된 조치를 받아들일 수 없고, 즉시 이를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이 만약 고집대로 행동한다면 중일관계와 북한 문제에서 양국 간 협력에 중대한 정치적 장애물을 만들 것"이라며, "이에 대한 후폭풍은 일본이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앞서 미국 상원은 찬성 98표, 반대 2표로 '북한·러시아·이란 제재 패키지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북한·러시아·이란 제재 패키지법은 이들 3개국에 대한 각각의 제재 법안을 하나로 묶은 것으로, 지난 25일 하원에서도 찬성 419명, 반대 3명의 압도적 표차로 가결 처리됐습니다.

이번 패키지법안은 북한의 원유 및 석유제품 수입을 봉쇄하는 것과 더불어 북한 노동자 고용 금지, 북한 선박과 유엔 대북제재를 거부하는 국가 선박의 운항 금지 등 북한의 군사·경제의 젖줄을 봉쇄하고 달러 유입 경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전방위 대북제재 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