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저소득층 폭염 사망위험 일반인보다 18% 높아…지역편차도"

"저소득층 폭염 사망위험 일반인보다 18% 높아…지역편차도"
교육수준이 낮고 가난한 사람일수록 폭염에 따른 사망 위험이 높다는 사실이 서울지역의 사망자 데이터를 통해 확인됐습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팀은 2009∼2012년 서울의 전체 사망자 3만 3천여 명을 대상으로 매년 6∼8월 중 폭염이 지역별로 사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조사 기간 중 서울의 25개 구별로 폭염 변화와 사망률을 비교했습니다.

폭염은 연중 95% 이상의 고온이 이틀 이상 이어진 경우로 정의했습니다.

6∼8월 사이 서울에서 폭염이 있었던 평균 횟수는 2009년 1.84회에서 2012년에는 2.96회로 4년 동안 62.1% 증가했습니다.

서울에서 폭염 횟수가 많아 가장 더웠던 지역으로는 종로구, 용산구, 서초구가 꼽혔습니다.

이들 지역의 폭염 기간 평균 온도는 2009년 28.7∼29.1℃였지만 2012년 31.7∼32.1℃로 크게 상승했습니다.

이는 서울 도심의 열섬효과가 해를 거듭할수록 심해진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폭염에 따른 사망위험은 교육수준이 낮고 가난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18% 높은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또 상대적으로 녹지공간이 적은 데 사는 사람도 폭염이 닥치면 사망위험이 18% 상승했습니다.

주변에 병원 수가 적은 지역에 사는 사람의 경우에도 폭염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19%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25개 구 가운데 마포구, 영등포구, 중구, 성북구, 서초구에서 이런 상관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김호 교수는 "폭염 기간의 사망위험은 폭염 자체의 위해성에 개인의 취약성, 거주 지역의 취약성이 동시에 영향을 미친다"면서 "폭염이 취약계층과 취약지역에서 사망률을 높이는 게 확인된 만큼 폭염에 따른 공중보건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