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년 만에 KAI 수사 나선 검찰…"핵심 인물 쫓느라" 해명

<앵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의 방산비리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최근 전격적인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 하지만 검찰이 본격적으로 수사에 나선 게 감사원으로부터 수사 의뢰를 받은 지 2년이나 지난 시점이어서 늑장수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검찰은 그동안 내사를 벌이면서 도주한 핵심 인물을 추적해왔다고 해명했습니다.

박상진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은 지난주 KAI에 대해 전격적으로 압수수색에 나선 이유로 KAI가 최근 대량으로 도입한 '이레이저'라는 영구적 삭제 프로그램을 지목했습니다. KAI가 조직적으로 증거 인멸에 나선 것으로 판단했단 겁니다.

카이 측은 방산업체로서 방위산업 보안업무훈령에 따라 의무적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했을 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검찰은 2015년 감사원의 수사 의뢰 이후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내사를 벌여왔고, 특히 지난해 6월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잠적한 전 KAI 인사팀 손 모 씨를 쫓는데 힘을 쏟았다고 밝혔습니다.

손 씨는 친척 명의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원가를 부풀려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

검찰관계자는 "손 씨가 지난해 6월부터 1년 넘게 도피 생활을 하고 있다며 장기간 도피에 외부의 조력을 받은 정황을 파악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하성용 KAI 사장의 임명 직전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비위 정황을 포착하고도 문제 삼지 않은 배경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검찰은 늦장수사가 아니라고 반박하지만, 통상 검찰 사건 처리 과정과 비교하면 본격 수사까지 2년이나 걸린 이유가 명쾌하지는 않아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