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북인권단체, '북한 인권범죄 지도' 작성·공개

대북인권단체, '북한 인권범죄 지도' 작성·공개
대북인권단체인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북한에서 총살이 이뤄진 장소, 사망자 집단 매장 추정지, 시체 소각장 등을 표시한 '북한 인권범죄 지도'를 작성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단체는 지난 2년간 375명의 탈북민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구글어스(Google Earth)를 활용해 이 같은 지도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가장 많이 파악된 인권범죄 현장은 총살 장소로, 인터뷰에 응한 탈북민들은 북한 전역에서 290곳을 총살이 이뤄진 곳으로 지목했다.

또 집단 매장 추정지와 시체 소각장 등은 47곳이 파악됐다고 이 단체는 주장했다.

이 단체는 "사망자 집단 매장 추정지의 경우 관리소나 교화소 등 수감시설 근처이거나 일반 주민 거주지에서 떨어진 외진 곳인 경향성을 보였다"며 "파악된 매장 추정지로부터 1∼4km 반경 이내에서 수십 회 이상 살해 장소들이 함께 지목되는 경우들도 더러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지목한 인권범죄 장소는 함경북도 지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터뷰에 응한 탈북민의 58.9%(221명)가 이 지역 출신이기 때문이라고 해당 단체는 설명했다.

이 단체는 '북한 인권범죄 지도'를 해설한 보고서에서 북한 인권범죄 피해 사망자의 유해 발굴이 필요하다는 탈북민 설문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설문에 응한 탈북민 272명 중 79.41%가 피해 사망자 유해 발굴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유해 발굴이 필요한 이유로는 '가해자 조사·재판에 도움이 될 증거이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인권유린 가해자들에 대한 책임 추궁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은 94.8%로 나타났다.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이번 프로젝트는 2014년 유엔북한인권조사위원회가 북한 지도부와 인권범죄 가해자들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사회가 행동할 것을 촉구한 것에 부응해 인권유린을 면밀하게 기록하는 위치기반 데이터를 구축해 향후 북한 정권 지도부에 대한 책임규명 조치를 뒷받침하기 위한 취지로 시작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사진=전환기정의워킹그룹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