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마크롱, 이번엔 이스라엘 총리 불러 중동평화협상 재개 압박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초청해 파리 기후협정 복귀를 압박한 지 이틀 만에 중동 평화협상 중재에 나섰습니다.

이번에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파리로 초청해 정상회담을 하고 중동평화협상 재개를 압박했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현지시간 16일 2차대전 당시 나치의 괴뢰정권이었던 비시정권이 프랑스 내 유대인을 강제징집해 나치수용소로 보낸 이른바 '벨디브' 사건의 추모식에 네타냐후 총리와 함께 참석한 뒤 엘리제 궁에서 정상회담을 했습니다.

마크롱은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른바 '2국가 해법'을 바탕으로 한 중동 평화협상을 재개해야 한다면서 "프랑스는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평화 조건의 틀 안에서 이런 목표를 위한 모든 외교적 노력을 지지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국경선을 서로 인정하면서 나란히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며 2국가 해법에 모호한 태도를 취해온 이스라엘 측을 압박했습니다.

특히 마크롱은 네타냐후 총리의 면전에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서안 정착촌 건설을 언급하고 "국제법은 모든 당사자가 준수해야 한다"며 발언 수위를 높였습니다.

이스라엘이 서안과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의 잠정자치 허용을 골자로 한 오슬로 협정을 1993년 체결하고도 일부 점령지를 자국의 영토로 만들기 위한 시도를 멈추지 않는 상황 등을 거론한 겁니다.

팔레스타인인들은 3차 중동전쟁 발발 이전의 국경을 기준 삼아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고 서안과 가자지구를 영토로 하는 독립국가 건설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팔레스타인은 국제사회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공존 방안을 기반으로 한 '2국가 해법'을 추진해왔지만, 이스라엘은 이 방안에 대한 입장이 불분명합니다.

2014년 봄 미국의 중재 실패 이후 양측의 평화협상은 교착 상태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