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형 사고 막을 수 있는데…안전장치 장착 미뤄지는 까닭

<앵커>

이렇게 대형차는 한번 사고가 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이 때문에 유럽연합에선 대형차에 의무적으로 비상 자동제동장치를 달게 하고 있습니다. 카메라와 레이더가 앞 차량과의 거리를 인식해 부딪칠 것 같으면 스스로 멈추게 하는 장치입니다. 국내에서도 이 장치를 의무화하기로 했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쉽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

송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시속 80킬로미터로 달리던 버스 앞에 승용차가 나타납니다.

추돌하기 직전 경고음과 함께 제동장치가 작동되면서 버스가 자동으로 멈춰 섭니다.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해 이런 비상자동제동장치를 장착한 버스가 2015년 말 출시됐지만, 가격이 비싸다 보니 지금까지 판매 대수가 350여 대에 그쳤습니다.

전세버스와 고속, 광역, 시외버스 등이 모두 5만 대 수준인 걸 고려하면 극히 미미한 겁니다.

정부는 대형 추돌사고가 잇따르면서 버스의 경우 내년부터, 화물차는 내후년부터 '생산'되는 차량에 대해 자동제동장치 장착을 의무화했습니다.

하지만, 기존 차량의 경우 3천만 원에 달하는 장착 비용 때문에 의무화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버스와 트럭이 차선을 벗어나면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장치는 다음 주부터 장착이 의무화되지만 2019년까지는 계도기간이어서 당장은 큰 효과를 보기 힘듭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대량 생산하면서 (안전장치) 비용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비용을 얼마든지 낮출 수도 있고요. 장착 기간을 당긴다면 그만큼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버스 운전자의 얼굴 등을 인식해 졸음운전을 하면 진동으로 경고하는 장치를 정부가 개발 중이지만 내년 이후에나 상용화될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김흥기, 영상편집 : 우기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