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사일 재진입 기술' 완성 위해 실제 궤도 발사 가능성

<앵커>

북한이 어제(4일) 발사한 미사일의 기술적 문제를 몇가지 짚어보겠습니다. 북한은 어제 성공적인 발사였다며 기술적지표를 발표했지만 재진입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습니다.

한미양국은 핵심기술인 재진입관련 기술은 아직 완성단계는 아닌것으로 보고있습니다.

김정윤 기장비니다.

<기자>

수천 km를 날아간 ICBM 탄두는 대기권으로 비스듬하게 재진입하는데 이때 속도는 마하 24에 달합니다. 탄두 온도는 7천에서 8천 도까지 올라갑니다.

이때 재진입체 머리 부분에 있는 '히트 실드'라는 열차폐막이 마모되면서 열과 압력을 흡수해 안에 있는 핵폭탄을 보호해야 합니다.

북한은 지난해 3월 대기권 재진입 모의실험을 공개하는 등 이 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지난해 6월 중장거리 미사일 '무수단' 발사 뒤엔 재진입 기술이 검증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선중앙TV : (지난해 6월 '무수단' 발사 뒤) 재돌입(재진입) 구간에서의 전투부(탄두) 열견딤 특성과 비행 안정성도 검증됐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실험은 온도가 1천500도 정도에 불과해 실제 온도인 7, 8천 도의 1/4에도 못 미쳤던 걸로 평가됐습니다.

북한은 어제 발표에서 재진입과 관련해선 '목표 수역'을 정확히 타격하였다고 했지만, 더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장영근/항공대 교수 : 재진입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 노력을 했겠지만 그 부분은 전혀 언급이 없는 것으로 봐선 재진입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확신할 수가 없다라는 거죠.]

전문가들은 재진입 기술을 완성하려면 ICBM을 실제로 쏴봐야 하기 때문에 북한이 실제 궤도로 쏘는 실험을 할 수도 있을 걸로 보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재진입 기술과 관련한 성능 확인이 끝나면, 상대국 영공이나 영해에 도달하기 전에 자폭시키는 방안이 거론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