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4일 공식 일정을 최소화하고 사흘 앞으로 다가온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준비에 몰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 총리 접견과 신임 교육부총리·환경부 장관 임명장 수여식 외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
G20 정상회의 참석차 5일 오전 일찍 출국하는 만큼 외교 일정과 신임 각료 임명 등 꼭 해야 하는 일정을 제외하고는 온종일 G20 정상회의 준비에 몰두키로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가장 중요한 양자회담이 지난주 치른 한·미 정상회담이라면 7∼8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는 가장 중요한 다자외교 무대 중 하나다.
한·미 정상회담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에 미치는 직접적인 관련성이나 주목도는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20개국에 달하는 주요 국가수반이 한자리에 모여 연쇄 회동을 하는 만큼 오히려 준비할 것은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G20 개최 이틀 전 독일 베를린에 도착해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접견하고, 쾨르버 재단 초청으로 옛 베를린 시청에서 연설할 예정이다.
쾨르버 재단 연설에는 북핵문제 해법과 남북관계 개선 방안,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복안 등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참모들과 함께 쾨르버 재단 연설문 초안 강독회를 열고 새 정부의 대북 기조와 평화통일 구상 등 큰 그림을 담아내는 데 심혈을 기울일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다자회의 도중 틈틈이 열릴 양자회담에도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G20 기간 10개국 이상의 정상을 비롯해 주요 국제기구의 수반과 회담을 가질 전망이다.
다만, 20개국 이상의 정상과 국제기구 수장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 일정을 조율하다 보니 양자회담 계획은 다소 유동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한·미·일 3국 정상은 G20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주재로 만찬 회동을 하기로 했다.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지난해 3월 워싱턴에서 열린 제4차 핵안보정상회의 이후 1년 3개월여 만이다.
이 자리에서는 북한의 핵 개발과 미사일 도발을 막기 위한 3국간 공조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주변 4강 정상 중 지난주 양자회담을 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제외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양자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관심이 쏠리는 것은 시진핑 주석과의 회담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의 국내 배치를 결정한 이후 중국은 사드 배치 철회를 주장하며 경제보복을 가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는 경제보복 철회를 촉구하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과 참모들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중국을 설득하고 우리 측 요구를 관철할 수 있는 논리와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아베 총리와 양자회담에서는 한·일 위안부 협상을 우리 국민이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음을 설명하는 한편, 과거사에 얽매여 양국 관계가 발전하지 못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는 양국 간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러시아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할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