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금리 더 오르면 어쩌나…은행 가계대출 65%가 변동금리

올해 들어 은행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가계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보면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에서 고정금리 대출은 34.6%이고 나머지 65.4%는 금융채를 비롯한 시장금리, 수신금리 등과 연동된 변동금리 대출입니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4월 말보다 0.1% 포인트 올랐습니다.

지난 5월 은행이 새로 취급한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은 61%로 4월보다 4.1%p 높아졌습니다.

앞서 올해 1분기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은 신규취급액 기준 59.5%로 작년 4분기에 비해 1.6%p 상승했습니다.

분기 기준으로 2015년 3분기 64.1%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입니다.

변동금리 대출이 눈에 띄게 확대된 것은 미국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는 고정금리 대출의 금리 상승 폭이 변동금리보다 크다"며 "변동금리 대출이 늘어난 것은 은행과 소비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은행은 금리 상승기에 수익성을 높이려고 변동금리 대출을 선호하는데, 가계는 고정금리 대출의 금리가 뛰면 변동금리 상품을 선택할 개연성이 커집니다.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노력으로 은행 가계대출 잔액에서 변동금리 비중은 지난 2011년 말 90.7%에서 지난해 65.5%로 꾸준히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60%를 넘는 변동금리 대출은 금리 상승과 맞물려 가계의 고민을 키울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5월 은행 가계대출의 가중평균금리는 연 3.47%로 2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