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리나라 뉴스 신뢰도 세계 36개국 중 '꼴찌'

로이터연구소 보고서…국민 30% "논쟁 휘말리기 싫어" 뉴스 기피

우리나라 국민의 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세계 36개국 가운데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개한 영국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의 최근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7'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총 36개국 7만1천805명(국내 2천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국내 대부분의 뉴스를 신뢰할 수 있다'는 문항에 대해 전체 조사 대상자의 43%가 '동의한다'고 답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 26%보다 많았다.

31%는 신뢰 여부를 선택하지 않았다.

뉴스 신뢰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핀란드(62%)였으며 브라질(60%), 포르투갈(58%)도 높은 편에 속했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와 그리스는 23%만이 뉴스를 신뢰한다고 답해 뉴스 신뢰도 최하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뉴스 신뢰도는 검열제도가 존재해 언론 자유가 취약한 말레이시아(29%), 정부와 언론이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는 슬로바키아(27%)보다 낮다.

아울러 뉴스를 기피한 경험에 대해서는 전체 조사 대상자의 56%가 '있다'고 답했다.

국가별로는 터키(84%)와 크로아티아(82%), 그리스(78%)의 뉴스 기피율이 높았다.

미국의 뉴스 기피율은 65%, 한국은 54%였으며 덴마크(38%), 일본(20%)의 뉴스 기피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뉴스 기피 이유 가운데 '논쟁에 휘말리기 싫어서'를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우리나라(30%)다.

2위는 정부와 공영방송의 갈등이 극심한 크로아티아(28%)가 차지했다.

정치 성향별로 '주로 의존하는 뉴스 출처가 어디인지' 선택하게 한 결과, 디지털 미디어를 꼽은 비율이 전체 응답자 중 진보층이 47%, 보수층이 43%로 비슷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진보(52%)와 보수(39%) 간 디지털 미디어 뉴스 의존도 격차는 세계 평균보다 컸다.

특히 우리나라의 소셜미디어(SNS) 뉴스 의존도는 진보가 57%로, 보수 32%보다 25%포인트나 높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