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뉴스pick] 흥부가 사실은 부잣집 데릴사위였다고?…가장 오래된 '흥보만보록' 공개

[뉴스pick] 흥부가 사실은 부잣집 데릴사위였다고?…가장 오래된 '흥보만보록' 공개
전래동화로 친숙한 조선시대 판소리계 소설 흥부전의 가장 오래된 필사본이 발견돼 국문학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확인된 흥부전 최고본(最古本)은 '흥보만보록'이라는 이름의 필사본으로 1833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흥보만보록은 송준호 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집안에 전해 내려오던 것으로 정병설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와 19세기 한글소설 전문가 김동욱 박사가 고증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됐습니다.

흥보만보록의 흥미로운 점은 그동안 잘 알려진 흥부와 놀부의 이야기와는 전혀 다른 내용이 포함돼 있다는 점입니다.
흥부는 사실 부잣집 데릴사위였다...
우선 흥보만보록은 이야기의 배경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경상도나 전라도가 아니라 오늘날 평안도 평원군 순안면 일대인 평양 서촌으로 묘사돼 있습니다.

흥부와 놀부의 성이 연 씨나 박 씨라고 표기된 것과 달리 흥부가 무과에 급제해 황해도 개풍군을 본관으로 하는 덕수 장 씨의 시조가 됐다는 내용도 흥미로운 대목입니다.

흥부는 착한 동생이고 놀부는 나쁜 형이라는 모두에게 익숙한 선악 구도조차 흥보만보록에는 다르게 나타나 있습니다.

김동욱 박사는 "놀부는 욕심 때문에 동생을 내쫓거나 부자가 된 동생 집을 찾아가 행패를 부리는 후안무치의 악인이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자식들 밥도 제대로 못 먹일 정도로 가난한 흥부의 가정 환경조차 흥보만보록에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흥보와 놀부 모두 평민 출신의 부잣집 데릴사위로 나오는 대목을 보면 교과서와 동화책을 다시 써야 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흥보와 놀부 두 형제 사이에 경제력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처음부터 있었던 것이 아니라 흥부가 가난한 친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친가로 돌아가면서 생긴 것으로 흥보만보록에는 나타나 있습니다.

'뉴스 픽'입니다.

(사진 출처=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