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지하철 5호선 전동차 미세먼지, 9호선의 2.5배"

"서울지하철 5호선 전동차 미세먼지, 9호선의 2.5배"
지난해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차 내 미세먼지 농도가 9호선 미세먼지의 2.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단체 서울환경운동연합은 서울교통공사와 서울메트로9호선이 공개한 지난해 지하철 역사·전동차 미세먼지 농도를 분석한 결과, 5호선 전동차 내 미세먼지 농도는 142.2㎍/㎥로 9호선 전동차 미세먼지 농도(57.8㎍/㎥)의 약 2.5배였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5호선 미세먼지 농도는 2015년 같은 조사에서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 74.3㎍/㎥에서 갑절 가까이로 늘어났습니다.

6·7·8호선 전동차 내 미세먼지 농도도 각각 124.4㎍/㎥, 101.7㎍/㎥, 115.6㎍/㎥로 높았습니다.

지하역사 278곳의 평균 농도도 81.2㎍/㎥로 환경부가 수립한 '제2차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5개년 대책'의 2017년 달성목표치인 70㎍/㎥나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기준치 50㎍/㎥과 거리가 있었습니다.

호선별 지하역사의 미세먼지 평균농도는 1호선 95.6㎍/㎥, 2호선 86.6㎍/㎥, 3호선 88.4㎍/㎥, 4호선 90.9㎍/㎥, 5호선 75.7㎍/㎥, 6호선 87.12㎍/㎥, 7호선 75.2㎍/㎥, 8호선 72.9㎍/㎥, 9호선 68.9㎍/㎥였습니다.

서울 시내에서 환경부의 2017년 달성목표치에 부합하는 역사는 총 60곳으로 21%에 불과해, 1·3·4호선은 목표치에 부합하는 역사가 없었고, 2호선은 1곳(을지로4가)에 불과했습니다.

미세먼지 '나쁨'(81∼150㎍/㎥) 수준 역사는 142곳으로 전체의 51%였습니다.

가장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곳은 9호선 구반포역(52.9㎍/㎥)이었고 가장 높은 곳은 6호선 공덕역과 버티고개역(116.2㎍/㎥)이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