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청소년 범죄, 유전자 영향 있나…중학생 800명 5년간 추적조사

청소년 범죄는 유전적 기질이 원인일까, 아니면 후천적 환경 요인이 원인일까.

26일 조선대에 따르면 윤일홍 경찰학과 교수는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앞으로 5년간 2억3천750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청소년 범죄와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범죄와 유전적 요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만 국내에서 관련 연구를 본격화한 것은 윤 교수가 처음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부모 동의를 받은 국내 중학생 8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해 청소년 범죄와 관련된 사회·환경적 변인들을 조사합니다.

또 대상자들의 구강상피세포를 채취한 후 유전형 분석(genotyping)도 합니다.

이를 통해 범죄 등 각종 비행행위와 관련된 것으로 밝혀진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과 도파민의 합성·수송·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개 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을 연구합니다.

5년에 걸쳐 조사대상 중학생들이 청소년기를 거쳐 청년기로 진입하는 동안의 발달과정을 추적 조사해 유전자 변인들이 상호작용해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정책적 대응방안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윤 교수는 "그동안 국내 범죄학은 염기서열 형태 등 사람마다 다른 생물학적 유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사회적 환경 요인에 비중을 두고 이뤄졌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학계에서 과학적 타당성을 인정받는다면 소년사법정책에 우선 적용해 범죄로 야기되는 사회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