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멕시코 정부, 반정부 인사 사찰 의혹' 파문 확산…검찰 수사 착수

멕시코 정부가 언론인과 법조인 등의 휴대전화를 감청하려고 시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이후 진실 규명에 대한 여론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사법당국이 수사에 착수했다.

21일(현지시간) 라 호르나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연방검찰은 정부가 스파이웨어를 통해 개인 간 통신 감청을 시도하고, 불법적으로 컴퓨터 장비에 접근하려 했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를 개시했다.

앞서 멕시코 비정부단체와 제휴한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시티즌 랩은 이스라엘의 사이버 무기 제조업체인 NSO 그룹으로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링크가 포함된 76건의 문자메시지를 확인했다며 정부의 불법 감청 시도 의혹을 제기했다.

문자메시지는 모두 한결같이 멕시코 정부와 관련된 인권침해나 부패 의혹 조사와 관련된 변호사, 언론인, 활동가 등과 그들의 가족에게 집중적으로 발송됐다.

NSO 그룹은 마약조직과 범죄단체, 테러리스트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만 사용하는 조건으로 감시 소프트웨어를 멕시코 정부에 독점 판매했다.

최소한 멕시코 연방 기관 3곳이 2011년 이후 8천만 달러어치의 스파이웨어를 구매했다.

멕시코 정부는 이런 의혹이 불거지자 공식적으로 불법 사찰을 시도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검찰은 스파이웨어가 포함된 문자메시지가 발송된 휴대전화 번호를 분석하고 발송처를 확인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또 NSO그룹과 접촉해 어떤 정부 기관이 문제의 스파이웨어를 구매했는지 등도 조사할 계획이다.

그러나 현지에서는 검찰의 불법 감청 시도 의혹에 대한 수사가 실질적인 결과를 끌어낼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멕시코에서는 집권층의 부패나 마약조직에 비판적인 언론인이 피살되는 일이 잦다.

국경없는기자회에 따르면 멕시코는 시리아와 아프가니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언론인이 활동하기에 위험한 나라다.

2000년 이후 100명 이상의 언론인이 살해됐고 20여 명이 실종됐다.

그러나 범인 검거율은 10%도 채 안 된다.

인권침해와 정부의 불법을 감시하는 법조인과 시민단체 활동가들도 늘 살해와 폭력의 위협에 노출돼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