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모바일 바람에 뉴욕타임스, 편집국 구조조정…2008년 이후 6번째

모바일 바람에 뉴욕타임스, 편집국 구조조정…2008년 이후 6번째
미국의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스가 인력 구조조정에 들어갑니다.

트럼프 행정부를 겨냥한 각종 특종 등으로 구독자 수가 늘고 있지만, 온라인·모바일이라는 시대적 대세에 대응하기에는 종이신문으로서 한계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뉴욕타임스는 현지시간 어제 자사 기사를 통해 직원들을 상대로 바이아웃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바이아웃은 계약이 만료되기 전 직원에게 연봉을 지급하고 자발적인 퇴직을 유도하는 제도로 우리나라의 명예퇴직과 유사합니다.

이번 구조조정은 일차적으로 편집국 중간간부급인 에디터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일선 기자들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또 카피 에디터와 백필드 에디터 2원 구조로 돼 있는 시스템을 단일 에디터 시스템으로 바꾼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조조정으로 마련된 비용은 100명 이상의 일선 취재기자들을 채용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밝혔습니다.

디지털 부문의 광고수익과 가입자 모두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갈수록 감소하는 지면광고를 보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겁니다.

지난 분기 지면광고가 18% 급감하면서 전체 광고수익이 7% 줄었다고 뉴욕타임스는 설명했습니다.

편집국 구조조정은 지난 2008년 이후로 6번째로, 지난 2014년 당시 명예퇴직 신청자가 충분하지 않자 일부 인력을 해고한 것처럼 이번에도 강제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내부 옴부즈맨 역할을 하는 공익편집인 자리도 없애기도 했습니다.

공익편집인은 편집부문과는 독립된 위치에서 독자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기사의 오류 등을 심의하는 직책입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2003년 기사표절·조작 스캔들로 파문을 일으킨 일명 '제이슨 블레어 사건'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공익편집인을 신설했었습니다.

그렇지만 미디어 환경이 크게 바뀌면서 기존의 공익편집인으로서는 한계가 있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입니다.

당장 지난해 11월 미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후보의 당선을 확신한 것도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됩니다.

당시 뉴욕타임스 공익편집인은 대선 직후 칼럼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을 예상하지 못한 주류 언론의 한계를 비판했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공익편집인을 대신해 '독자 센터'를 만들고, 자사 기사에 더 많은 댓글을 허용한다는 입장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