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남권희 교수 "문화재청 '증도가자' 조사 방식에 오류"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가 지난 4월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없다고 결론지은 '증도가자'에 대해 남권희 경북대 교수가 문화재청의 조사 방식에 오류가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남 교수는 오늘(26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한국서지학회 학술대회에서 "문화재청의 조사 결과는 서지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나온 것"이라며 "활자 주조와 서체 비교에 대해서는 충분히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남 교수는 2010년 9월 '증도가자'를 공개하면서 '직지심체요절'보다 최소 138년 앞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관련 유물이라고 주장한 인물입니다.

'증도가자'는 보물로 지정된 불교서적인 '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인쇄할 때 사용했다는 금속활자로 보물로 지정된 증도가는 1239년 제작된 목판으로 찍은 번각본으로, 이전에 금속활자로 인쇄한 서적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남 교수는 "번각본 글자는 금속활자본 글자보다 전반적으로 굵어지는 양상이 있다"며 "문화재청은 증도가자와 증도가의 서체 유사도가 낮다고 했는데, 금속활자본과 번각본 서체 유사도 값은 비교 대상에 따라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증도가자'가 증도가 책을 찍기에는 활자가 크다는 결과에 대해서도 "목판은 시간이 지나면 수축이 일어나기 때문에 목판본 글자와 금속활자본 글자의 크기를 일률적으로 비교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획의 굵기, 목판 수축에 대한 의견은 조사 과정에서 이미 모두 검토를 마쳤다"며 "결론을 바꿀 만한 새로운 내용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