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연수 중 버스참사 공무원 유족들 "위험직군순직 처리돼야"

2년 전 중국 지린(吉林)성에서 연수를 받다가 버스사고로 숨진 공무원들에 대해 유족 측이 '일반 순직'이 아닌 '위험 직군 순직' 처리를 요구했습니다.

'지방행정연수원 교육생 중국 차량사고 사망공무원 9인 유가족 대표회의'는 19일 성명서를 내고 "2015년 7월 5급 사무관 9명이 동시에 사망한 사건은 무리한 일정과 환경이 만든 인재"라면서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유가족 대표회의는 "이전 정부의 임기응변식 대응과 거짓 약속으로 상처받은 유가족들을 새 정부가 사과하고 위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당시 국내는 세월호 침몰사고와 경북 리조트 붕괴사고 등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정부가 사전 안전 강화와 비상시 대체 매뉴얼 준비와 실행을 강조했다"면서 "중국 역사탐방지역은 사고위험이 큰 곳이지만 사전답사나 운전기사 안전교육, 차량 안전 점검 등이 전무한 상태였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무리한 연수 일정을 맞추기 위해 매일 밤늦게까지 이동을 강행했고, 연수 지역이 대부분 산악지대로 위험한 도로를 하루에 5∼8시간 동안 운전기사 1명이 운행하며 규정 속도(40km)의 배가 넘는 속도로 운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낡고 위험한 교육 차량은 빗물이 스며들어 교육생들이 강력히 교체를 요청해 30분 후 다른 차량이 도착했지만 더 낡은 차량이 오면서 이전 차량으로 운행, 결국 사고가 난 '인재'"라고 강조했습니다.

당시 사고로 형을 잃은 경기도 고양시청 한성준(52) 팀장은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연수로 인해 30년 넘게 공직생활을 하다 타국에서 허망한 죽음을 맞은 공직자 9명의 명예를 지켜줘야 한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세월호 침몰사고의 기간제 교사에 대해 순직처리를 지시한 것처럼 중국 버스사고 유족들의 슬픔도 보듬어 주길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위험 직군 순직처리가 되면 국립묘지 안장 대상이 됩니다.

사망 공무원들은 2015년 12월 인사혁신처로부터 '순직' 처분을 받았지만 유족들은 최근까지 '위험 직군 순직' 처분을 정부에 요구해왔습니다.

2015년 7월 1일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연수원 교육생 등 26명을 태운 버스 1대가 중국 지린성 지안(集安)에서 단둥(丹東)으로 이동하던 중 다리에서 추락해 공무원 9명이 숨지고, 15명이 다쳤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