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日, 위안부합의 개정 국제여론 차단 '발버둥'…유엔에 반론문

日, 위안부합의 개정 국제여론 차단 '발버둥'…유엔에 반론문
일본 정부가 유엔 고문방지위원회의 한일 위안부 합의 개정 권고와 관련해, 조만간 반론문을 제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습니다.

알본 정부는 반론문에 위안부를 성 노예로 보는 점을 지적하고, 한일 합의 개정은 필요 없다는 생각을 넣을 계획이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유엔 고문방지위원회는 지난 12일 보고서를 내고 2015년 12월 이뤄진 한국과 일본 정부의 위안부 합의 내용을 개정할 것을 권고했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일본군 위안부를 '제2차세계대전 중 성 노예 제도의 희생자'로 규정하고 "한일 합의는 피해자에 대한 명예회복과 보상, 재발 방지에서 불충분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 연행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한일 합의 때 반기문 당시 유엔 사무총장도 높이 평가한 점 등을 들어 보고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계획입니다.

요미우리는 한일합의에 대한 재교섭을 강조했던 문재인 정권이 탄생해 합의 개정에 대한 분위기가 높아지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반론문을 통해 합의의 의의를 강조하려는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일본 정부 반론문 제출 방침은 유엔 고문방지위원회의 권고가 일본이 아닌 한국을 향한 것이라고 했던 기존 입장과 논리적으로 충돌합니다.

애초 일본과 관련 없는 것이라며 무시했지만 적극적으로 반론을 펴겠다는 쪽으로 전환한 것입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지난 15일 "이번 고문방지위원회 권고는 한국에 대해 언급한 것"이라고 말하며 "일본 정부에 대한 법적인 구속력은 전혀 없는 것"이라고 깎아내렸습니다.

스가 장관은 오늘 오후 브리핑에서는 "구체적 대응을 정부 내에서 검토 중"이라며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가를 포함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스가 장관은 "정부로선 이번 권고는 어디까지나 한국 정부에 대한 것이어서 법적 구속력은 없다고 생각한다"며, "한일 양국이 합의를 했고, 국제사회에서도 평가받은 것인 만큼 시행시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