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희상 특사, 아베 면담…북핵엔 공동대처·위안부합의는 이견

문희상 특사, 아베 면담…북핵엔 공동대처·위안부합의는 이견
문재인 대통령의 일본 특사인 더불어민주당 문희상 의원은 오늘(18일) 아베 신조 일본총리를 만나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습니다.

문 특사는 현지 시간으로 오늘날 오전 10시쯤, 도쿄 총리관저에서 30여 분 동안 아베 총리와 면담했으며, 이 자리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와 역사인식, 북한 문제 등과 관련해 의견이 나눴습니다.

면담에 앞서 아베 총리는 우리 정부 특사단과 악수한 뒤 "문 특사와는 몇 차례 만난 적이 있고 아내와도 본 적이 있다·새 대통령이 이처럼 이른 시기에 특사를 파견한 것은 그만큼 한일관계를 중시하는 것으로 본다"면서, "한국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어, "새 정권과 미래 지향적 한일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북한 문제를 비롯해 한일관계에서 중요한 문제를 솔직하게 얘기하면 좋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문 특사는 "일전에 여러 차례 만났지만 뵐 때마다 느끼지만 총리 얼굴이 젊고 건강하시다는 것"이라고 화답했습니다.

문 특사는 "바쁘신 가운데 시간을 내주셔서 고맙다"면서 "말씀하신 대로 한국과 일본은 두 가지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하나는 지리적으로 가깝고 실질적 가치를 공유한다는 것인데,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가 그것이다. 다른 하나는 안보적으로 북한문제 등 공동의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문 특사는 "이에 미래 지향적으로 발전해 가자는 문 대통령의 뜻을 친서에 담아왔다"며.

"앞으로 조속한 시일 안에 꼭 뵙기를 희망하고, 정상의 만남이 빈번해질수록 양국의 이해가 훨씬 깊어진다는 뜻을 담아왔다"고 덧붙였습니다.

문 특사는 "문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 시대 등의 한일 간 셔틀 외교 복원까지를 희망한다"고도 말했습니다.

문 특사는 회담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위안부, 역사문제에 대해 언급했느냐는 질문에 "진지하게 얘기했지만 더는 얘기하기가 거북하다"면서도, 충분히 한국의 의견을 전달했느냐는 물음에는 "물론이다"고 대답했습니다.

문 특사는 이어 친서에 관련 내용이 있느냐는 물음에 "그런 내용은 없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지난 11일 두 정상의 통화 내용을 보면 현실의 문제가 무엇인지 내용을 잘 알고 있고 충분히 이해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아베 총리 면담 뒤, 주일 한국 특파원단을 만난 자리에선 "담당자 확인 결과 내용이 있는 것으로 들었다"고 이전 발언을 정정했습니다.

문 특사는 위안부 합의에 대해선 아베 총리에게 "우리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에 대해 수용할 수 없는 분위기"라며, "고노·무라야마·간 나오토 담화, 김대중-오부치 선언의 내용을 직시하고 그 바탕에서 서로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자"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문 특사는 주일 특파원단과 만나 아베 총리가 면담에서 "오늘날의 한일관계는 그동안 많은 분이 우호 관계를 쌓아온 결과"라며, "한일관계는 여러 문제가 있지만 이를 잘 관리해 장애가 되지 않도록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재작년 합의도 국가 간의 합의니 착실히 이행해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소개했습니다.

문 특사는 이어 아베 총리에게 "한국 정부는 북핵과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고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지향한다"며, "협력을 통해 북한의 변화를 유도해서 나가고 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문 특사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에 대해선 "그 문제는 현재 현안일 수 없고 진행형이며 국가 간의 합의고 할까 안 할까는 다음 기한이 지나면 새 정부가 판단할 문제"라며 "우리가 예단해서 말할 수는 없다"고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