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암 전이·재발 억제 인자 찾았다

암 전이·재발 억제 인자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암의 전이·재발을 억제하는 요인을 규명했다.

'두 번째 암'으로 불리는 전이·재발암은 처음 발생한 암보다 치료하기가 어렵다.

엄홍덕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은 p53 단백질과 p21 단백질의 결합체가 암 전이와 재발을 막는 기능을 한다는점을 발견했다고 1일 밝혔다.

'암 억제자'로 유명한 p53 단백질은 암의 재발과 전이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p53 단백질이 홀로 이런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p21 단백질과 '짝'을 이뤄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실험으로 알아냈다.

폐암과 대장암을 앓는 쥐를 통해 암세포 안의 p53·p21 단백질 결합체가 암의 전이·재발 촉진인자(Bcl-w, Bcl-XL, Bcl-2 등)의 활동을 억제함을 관찰한 것이다.

이는 p53 단백질과 p21 단백질이 서로 붙지 못하면 암 전이와 재발이 촉진됨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폐암, 대장암, 신경아세포종 환자들에게서 p53·p21 단백질의 결합체가 암 세포 안에 없으면 전이와 재발이 잘 일어나는 등 예후가 좋지 않음을 확인했다.

엄홍덕 박사는 "p53·p21 결합체를 온전하게 보유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사이에 암 전이·재발에 대한 예측 확률은 다를 것"이라며 "후자의 경우 p53·p21 결합체의 결손을 극복할 항암 치료전략이 권장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 방사선기술개발사업과 방사선반응제어 실용화기술개발의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연구'(Cancer Research) 3일 자에 온라인으로 실렸다.

관련 기술은 2건의 국내특허로 등록됐고, 국제특허(PCT)도 2건 출원한 상태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