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자리 문제 해결' 내세운 후보들…방법은 '제각각'

<앵커>

청년 네명 중 한명이 사실상 실업상태인 최악의 일자리 상황때문에 각 후보들은 일자리해결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오늘(28일) 토론에서 이 문제를 놓고 다시한번 공방이 예상되는데요.

각 후보의 일자리 공약의 주요내용을 송욱 기자가 다시한번 정리해드립니다.

<기자>

[이창준/대학생 : 일자리도 많이 없는 것 같고 기업에서도 사람을 많이 안 뽑으려 하는 것 같고… 그래서 취업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부족한 일자리에 대한 접근법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기업이 채용을 안 하니 공무원 등 공공부문 일자리를 우선 늘리자는 게 문재인, 심상정 후보 공약인데요, 이를 통해 각각 81만, 10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공약을 제시했습니다.

두 후보는 또 공공기관이 청년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 비율도 올리겠단 입장입니다.

아니다! 그래도 기업 일자리가 정답이란 게 다른 후보들 생각인데요.

홍준표 후보는 기업 규제를 풀어 110만 개 일자리 만들겠다, 안철수 후보는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2년간 1천200만 원을 지원하겠다는 정책을 내놨습니다.

유승민 후보는 창업 활성화를 가장 앞세웠습니다.

[강성진/대학생 : 정부 차원에서 어느 정도 취업준비생들에게 돈을 지원하는 제도가 생기면 공부하는데 수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지원금을 주는 이른바 청년 수당은 모든 후보의 공약에 포함됐습니다.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는 구직활동하는 청년에게 일정 기간 30만 원씩 지급하는 정책을 내놓았습니다.

심상정 후보는 청년 실업자에게 1년간 최저임금의 절반을 주는 청년 실업부조를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홍준표 후보는 저소득 취약계층과 청년에게, 그리고 유승민 후보는 장기 실업상태의 청년에 수당을 주는 실업부조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