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실상 폐기된 삼성전자 지주회사 전환…현 지분구조 유지될 듯

사실상 폐기된 삼성전자 지주회사 전환…현 지분구조 유지될 듯
삼성전자가 27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유력한 방편으로 거론돼온 지주회사 전환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은 시장의 일반적인 예상을 깬 결정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향후에도 삼성전자는 지주사 전환 계획이 없다고 봐도 된다"고 밝혔다.

장래에 이번 결정이 번복될 개연성까지 차단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지주회사 전환 시나리오는 사실상 폐기된 셈이다.

지주회사 전환이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시장이 평가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결정은 의외다.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서 회사를 인적 분할하면 의결권이 없던 자사주의 의결권이 부활하고, 이를 지렛대로 오너(총수) 등 특수관계인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이 그동안 일반적인 관행이었기 때문이다.

이번 결정에 따라 이 부회장이 현재의 지분구조를 유지하면서 삼성전자를 경영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증권가에 따르면 이건희 삼성 회장(3.5%), 이재용 부회장(0.6%) 등 오너 일가와 계열사가 가진 삼성전자 주식을 모두 합치면 18.2%다.

자사주는 13.3%가 있지만 자사주에는 의결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반면 외국인 주주들의 지분율은 50%를 넘기 때문에 이 부회장 등 오너 일가의 지배력이 취약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하지만 사실상 지금도 실질적으로 오너십을 행사하고 있는 기업인이 이 부회장이고, 외국인 주주들도 현재의 삼성전자 경영 성적이나 배당 등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 큰 불만을 가질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이날 삼성전자가 발표한 기존 보유 자사주 소각은 오너의 지배력 강화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자사주는 당초 의결권이 없기 때문에 이를 소각한다고 해서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우리는 원래부터 지주회사 전환에 부정적이었고, 주주의 제안이 있어 검토를 했지만 역시 사업경쟁력 강화 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전환하지 않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